인터뷰 여미경 백석2동 복지위원


기초생활 수급권자가 아님에도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가 부쩍 느는 요즘,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관심이 절실해지고 있다.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찾아내고 지원 방안을 마을공동체 내에서 협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현재 시행 중이다. 바로 각 동이 실시하는 시민 참여형 복지위원 제도가 그것이다. 백석2동에서 4년간 복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여미경(사진·56세)씨를 만나 그간의 활동에 대해 들어봤다. 명지방문요양센터 센터장이기도 한 여미경씨는 위기가정 발굴 최전선에서 일하는 복지전문가 중 한 명이다.

복지위원에 대해 소개해 달라.
현재 동별로 2명으로 구성된 복지위원이 긴급복지가 필요한 이들을 발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들은 주민센터와 사회복지관으로 위기가정을 빠르게 연계해 주는 복지담당 요원으로, 어려운 이웃들에게 관심을 갖는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복지위원의 역할을 강화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지금까지 복지위원 활동이 유명무실한 동네도 많았다. 그래서 이를 강화한 제도가 ‘동별 사회복지협의체’다. 위기가정 발굴에 관심 있는 주민과 복지전문가로 이뤄진 15명이 협의체 위원으로 활동한다. 오는 6월부터 고양시에서 수급권자가 가장 많은 3개동(백석2·주엽2·행신3동)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올해 말이면 이 사업을 고양시 9개 동으로 늘릴 계획이고, 내년에는 시 전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한 이유는.
시 공무원이 아무리 열심히 뛰어도 동네 주민들만큼 이웃 사정을 더 잘 알기는 쉽지 않다. 갑작스럽게 몰락한 중산층 가정도 있고, 정신적 충격에 삶의 의지가 꺾인 이들도 있다. 긴급 도움이 필요한 이들임에도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이들도 이런 사람들이다. 복지위원은 이들을 찾아내 어떻게 도움을 줄지 고민하는 역할을 한다.

동별 사회복지협의체가 잘 운영될지 우려하는 이들도 있다.
현재 운영되는 주민자치위원회와 비슷한 성격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곳도 폐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름만 걸고 활동을 하지 않거나 친한 지인들만 신경 쓰는 위원들도 있다. 복지협의체라고 그렇지 않을 거란 보장은 없다. 봉사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활동한다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반대로 협의체에 큰 기대를 거는 이들도 많다. 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을 확산하는 것도 계획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