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모래 사과나무치과병원 통합치의학과장의 건강칼럼

 강모래 사과나무치과병원 통합치의학과장
 강모래 사과나무치과병원 통합치의학과장

[고양신문] 치아균열증후군(crack tooth syndrome)은 치아의 표면이나 내부, 뿌리 등에 균열 (실금: crack)이 발생하는 것으로, 균열이 더 진행돼 부러진다면 골절(fracture)이 된다. 치아균열증후군은 교합력에 의해 틈이 미세하게 벌어지기 때문에 씹을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초기 증상이 시작된다. 

균열의 정도에 따라 딱딱한 음식을 씹을 때 깜짝 놀랄 정도로 시큰한 느낌이 생겼다가 곧 사라지기도 하고, 차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도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초기 단계에서는 균열선이 보이지 않고 방사선 사진에서도 나타나지 않으며 여러 검사를 해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 과정에 있어서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외국과 비교해보면 유독 우리나라에서 치아균열증후군의 발생빈도가 높은데, 아무래도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기는 식이 문화 때문 아닐까 싶다. 마른오징어, 오돌뼈, 강정, 간장게장 등과 같이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섭취하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무리하게 치아에 힘을 가하는 저작습관이 있는 경우, 무의식적으로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거나 이갈이가 심한 경우도 치아에 균열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치아 균열은 유리에 금이 갔을 때처럼 서서히 진행되는데, 치료방법은 균열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크라운을 씌우고, 자발통이 있거나 온도 차이에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워 치아를 감싸줘야 한다. 

하지만 치아 뿌리까지 균열이 진행되었거나 신경치료를 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때는 발치하는 경우도 생긴다. 적절한 크라운 치료를 받았더라도 씹는 힘에 의해 균열이 더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단단한 음식은 피해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 또한 중요하다.

치아에 금이 간 것은 결코 다시 붙지 않는다. 뼈와 달리 치아는 칼슘을 섭취한다고 해서 보충이 되는 것도 아니므로 결국 예방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치아 균열을 예방하려면 될 수 있으면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피하고, 섭취할 때에는 최대한 잘게 썰어 천천히 씹고 될 수 있으면 양쪽으로 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강모래 사과나무의료재단 사과나무치과병원 통합치의학과장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