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텍스, 코엑스보다 방만하게 운영
2011년 9월 제 2전시장이 완공되면 전시면적 10만㎡로 아시아에서 4번째 규모의 전시면적을 갖게 되며 명실상부하게 세계적 수준의 전시 문화공간을 표방한 킨텍스에 대해 방만 운영 논란이 일고 있다.
그간 코트라에서 추천하여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가 이사회에서 (주)킨텍스의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이사선임권의 51%를 보장받은 코트라가 이사 과반수를 확보하는 등 코트라는 킨텍스의 실질적인 경영을 맡아왔다. 출자비율이 코트라가 32.52%, 경기도가 33.74%, 고양시가 33.74%임에도 이사 9명 가운데 코트라 5명(대표이사 포함), 경기도가 2명, 고양시가 2명이다. 코트라가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킨텍스는 제 8기 2009년 회계연도 결산보고서에 의하면 판매비 및 관리비(판관비)가 약41억원으로 매출(약 203억원)대비 판관비가 20%로 나타났다. 반면 코엑스의 경우 판관비가 약 37억원으로 매출(약 479억) 대비 판관비가 7.8%이다. 이는 코엑스의 임직원 수가 165명이고 킨텍스의 임직원 수가 77명인 것에 비하면 더욱 놀라운 수치이다.
더구나 코엑스 임원 보수의 총액이 3억4300여만에 불과한 반면 킨텍스는 대표이사(한준우), 상임이사, 감사 3명의 임원 보수 합계가 4억4000여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고양시는 직간접적으로 킨텍스를 지원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킨텍스 국제행사 지원에 1억400여만원을 지원했으며 국내 전시회에 참가하는 관내 중소기업에게 국도비 시비 합산 6000만원을 2010년에는 8000만원을 지원하였고 2010 서울국제공작 기계전에 1억 600만원을 지원해 주었다. 현재 킨텍스는 토지와 건물을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킨텍스는 2007년에는 67억7000여만원, 2008년에는 58억5000여만원, 2009년 11억 6000여만원 정도의 당기순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2010년 고양시 행정사무감사에 따르면 킨텍스 제 1전시장 운영누적적자 현황이 약 305억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엑스는 2008년 당기순이익이 13억여원, 2009년 당기순이익이 10억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1단계 개장 당시 킨텍스는 국제화 및 대형화, 전문화라는 차별화 전략으로 ‘2008년 흑자달성의 원년의 해’를 만들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하였다. 그 밖에도 킨텍스는 2007년 접대비 한도초과가 3억7000여만원, 2008년에는 3억2700여만원, 2009년에는 업무추진비가 1억6500여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엑스의 2008년 접대비가 4500여만원, 2009년 4200여만원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 또한 부산 벡스코의 2008년 접대비가 7000여만원, 2009년 접대비가 6500여만원인 것과 비교해도 놀라운 수치이다.
이번 고양시 행정사무감사에서 킨텍스의 판관비가 지나치게 많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한준우 현 킨텍스대표는 전시산업종의 특성을 고려하면 많은 편이 아니라고 답변하였다. 고양시는 킨텍스가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210억여원을 환급받고도 2005년 6월 2일 전시장이 준공되어 무상사용, 수익허가권을 받는 조건으로 기부채납받을 경우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주식회사 킨텍스에 부가가치세 매출세액 납세의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자 동회사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시장은 3단계 전시장 건물의 완공시점인 2013년에 고양시에게 기부 채납한다”는 내용의 변경협약서를 체결해 감사원의 지적을 받았다.
감사원은 2008년 9월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의 관련규정을 위배하여 공유재산 위에 건축한 건물을 기부채납하지 아니하고 사용·수익하게 하는 일이 없도록 관련 업무를 철저히 하라고 하였으나, 아직 기부채납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골프회원권 2와 1/2구좌를 10억 7500만원에 구입하여 74회를 이용했는데, 이 중 38회의 골프장 이용료 3200만원을 업무추진비로 집행했다. 이러한 감사원 감사를 받은 후 2009년 2구좌를 매각하였는데 그 중 한 계좌는 8000여만원의 손실을 보고 판매했다.
게다가 2010년 4월 감사원 지적에 따르면 고양시는 킨텍스의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 설치 위치에 대해 면밀히 검토 분석하지 아니하고 허가하여 공사비 48여억원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양시는 한국국제전시장 건립사업 협약서를 개정 중이며 대표이사의 공개 모집, 출자에 따른 이사선임권 보장 등 고양시의 권한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김윤숙 고양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