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송 스타필드 앞 ‘동산동 취락지구’ 민간도시개발 추진

신도시에 싸여 상대적 박탈감... ‘주변처럼 아파트로 개발하자’

2021-05-28     이성오 기자
▲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자연마을에 민간도시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조합추진위 결성, 설명회 개최
신도시에 싸여 상대적 박탈감
재래마을 전락 후 난개발까지

‘주변처럼 아파트로 개발하자’
도시개발 찬반 의견 나뉘기도


[고양신문] 고양시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덕양구 동산동 취락지구에 민간도시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추진위가 결성돼 토지주로부터 동의서를 받는 단계로, 아직까지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되거나 조합이 설립된 단계는 아니다.

동산동은 삼송·지축 신도시에 이어 창릉신도시까지 확정되면서 주변이 모두 신도시 아파트들로 둘러싸인 대표적인 마을이다. 이곳은 16년 전 그린벨트가 해제된 대규모 취락지역으로, 해제 후 제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됐다. 그린벨트에서 풀러났지만 용적율과 건폐율의 제한이 있고, 4층 이하의 건물만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대규모 개발은 불가한 곳이었다. 무엇보다 좁은 도로와 취약한 기반시설 등 열악한 생활환경으로 주택 신축에 대한 욕구도 크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주변에 신도시가 완성되고 창릉신도시까지 발표가 나자 마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빌라촌이 우후죽순 늘어나면서 난개발이 진행되기 시작한 것.

이렇게 되자 “마을이 무계획적으로 개발되면서 주차난 등 주거환경이 더 악화되고 있다”며 “이럴 바에야 주변 신도시처럼 아파트로 도시개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부 토지주들을 중심으로 힘을 얻기 시작했다. 이런 주장이 ‘민간도시개발 추진위’ 결성까지 이어지게 된 것.

동산동 민간도시개발을 위한 첫 모임은 창릉신도시가 발표된 직후인 2019년 6월 시작됐다. 전성원 동산취락지구 도시개발 추진위원장은 ”동산동 바로 옆이 창릉신도시로 확정됐다는 소식에 우리도 가만히 앉아있을 수만은 없었다“며 ”지난 2019년 12월 토지주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개발 1차 사업설명회를 가졌고, 올해 4월 두 번째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말했다.

▲ 올해 4월 19일 열린 ‘동산취락지구 도시개발’ 두 번째 주민설명회. 이날 설명회에는 김필례 국민의힘 고양을 조직위원장과 지역구 송규근 고양시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토지주들은 전문가 패널과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 위원장은 “이곳은 위치적으로는 창릉, 삼송, 지축 신도시 개발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주변 생활여건과 어울리지 않는 재래마을로 남아있다”며 “마을의 약 40% 가량이 도로와 진입로 등 기반시설이 없어서 개별신축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린벨트 해제 직후에 고양시가 도로와 공원 등 기반시설을 만든다고 고시만 해놓고 지금까지 부지매입에는 신경도 쓰지 않고 있다”며 “그러면서 기반시설 예정지와 맞물린 개인토지에 대해서는 재산권 행사를 못하게 막아놓아 마을이 점점 쇠퇴해가고, 한편으로는 빌라 신축으로 난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며 도시개발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도시개발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최근 토지 가치가 많이 오른 스타필드 맞은편 대로변에 땅을 가지고 있거나, 마을에 토지를 많이 소유한 주민들은 “땅값이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큰 변화를 줄 필요가 있냐”는 입장이다. 다시 말해 환지방식의 도시개발이 더 큰 이득이 될지 확신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한 주민은 “토지 가치가 낮은 맹지를 소유한 분들이야 도시개발을 찬성할지 몰라도, 비싼 땅을 가졌거나 많은 땅을 가진 분들은 지금 상황도 그리 나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 중엔 언제 시작될지 모르는 민간개발의 불확실성 때문에 현재 살고 있는 단독주택을 떠나려 하지 않는 분들도 있다”고 말했다.

추진위에 따르면 동산동 도시개발은 아파트 약 3500세대를 건축하는 것으로 구상 중이다. 추진위는 “주변 아파트 시세를 감안하면 개발로 얻는 이득이 클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도시개발로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며 “많은 분들이 동의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주민은 “민간도시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민 간 갈등이 일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며 “개인 자산을 고려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