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리고 찌릿한 하지 통증, 좌골신경통 의심해봐야
이준호 일산하이병원 척추센터 원장의 건강칼럼
[고양신문] 코로나19 장기화로 재택근무 등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허리디스크나 요통이 없음에도 저리고 찌릿한 하지 통증이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데 허리통증이 엉덩이를 지나 다리나 발쪽으로 이어진다면 ‘좌골신경통’을 의심해봐야 한다.
좌골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로 의자나 바닥에 앉을 때 닿는 부위다. 좌골을 지나는 신경다발을 좌골신경이라 하며 우리 몸의 신경 중 가장 굵고 긴 신경에 속한다. 허리부터 시작해 엉덩이, 다리로 뻗어있고 허벅지 바깥부터 종아리, 발 등 대부분의 감각을 책임지는 중요기관이다.
좌골신경통은 같은 자세로 장시간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장시간 운전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좌골신경통 진단은 MRI 검사나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이뤄진다. 환자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처럼 질환의 진행 정도나 증상 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달라진다.
증상 초기라면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적절한 스트레칭과 운동 등으로 어느 정도 호전될 수 있다. 또한 약물복용이나 주사요법, 도수치료, 신경성형술 등 보존적 치료부터 비수술적 치료법까지 다양하다.
좌골신경통은 신경차단술 등 비수술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지름 2㎜의 가느다란 특수 카테터를 삽입한 뒤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하는 시술법이다. 특수영상치료장비인 C-ARM을 통해 병변 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시술하므로 정확도가 높고 안전하다.
국소 마취 하에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통증을 최소화시켜 일상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으며, 또 피부 절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출혈이나 마취에 의한 부담이 적고,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성인질환으로 인해 수술이 힘든 환자도 치료가 가능하다.
좌골신경통은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좌골신경을 점차 압박하게 돼 다리가 무감각해지고 일상생활에 제약이 따르며 심한 경우 다리를 절게 될 수도 있다. 좌골신경통을 예방하려면 평소 의식적으로 자세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하고 적어도 1시간에 한 번 정도는 자리에서 일어나 자세를 바꿔주고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이준호 일산하이병원 척추센터 원장(신경외과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