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에 첫 시집 낸 최종복 시인
“오래 걷다보니 다리가 아프지만 너덜해진 길을 털어 볕에 말린다”
2004-06-11 편집국
평생을 교직에 몸담아오다 일산 문화초등학교 교장을 끝으로 정년퇴임한 최종복 시인은 아이들을 가르치며 차곡차곡 쌓아온 감성을 하나하나 꺼내 시로 엮었다. 작은 꽃들과 산과 들, 오솔길… 산새와 아이들. 시의 소재는 늘 자연과 작은 생명체들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끊임없는 예찬들 사이사이엔 세상 살며 겪을 수밖에 없는 힘겨움도 간간히 묻어있다. 아이들의 맑은 눈으로 세상을 누리고 싶은 마음 간절하지만 꼭 그렇게 되지만은 않는 세월의 흐름을 그는 아쉽지만 시인한다. 그러나 시인은 세상사의 달고 쓴맛을 모두 보내고 세상 이치를 좀 들여다볼 수 있게 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고 말한다.
“오랫동안 걸어오다 보니 다리가 아프지만 지나왔던 너덜해진 길을 털어서 봄볕에 말린다. 물집 터지는 발가락 사이로 흩어진 세월의 향기로운 새순이 돋아나는 것을 알 것 같다”
70세, 고희의 공간에서 시인은 지나온 길을 되돌아본다. “때로는 잃어버린 길에서 끝이 보이지 않아 헤맬 적이 많았지만 그 그림자를 털어내면서 생각을 가슴속에 묻고 사는 것은 다행” 이라고 담담하게 말하는 시인은 비록 헤매게 될지라도 다시 새로운 길을 찾고 있다.
최종복 시인은 “일흔이 되어서야 시집 한 권을 펴내니 더 설레는 것 같다”며 “40여 년 동안 교단에 섰던 내 인생의 길이 아름답게 느껴지고 세월은 다름 아닌 길을 따라 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길이란 주제로 시집을 엮게 되었다”고 말했다.
시집 ‘길을 따라가는 세월’에는 모두 125편의 시가 담겨있다. 10여 년 동안 써 내린 300여 편의 시에서 특별히 애착이 가는 시들을 선택하고 이를 4개의 작은 주제로 나누었다고 한다. 4개의 주제가 시작될 때마다 아름다운 풍경 사진이 열리는데 시 못지않게 사진에 열중 해 온 최종복 시인의 작품이다.
세상사는 흔적과 자연에 대한 감동을 글과 사진으로 부지런히 엮어내고 있는 시인은 여전히, 열심히 길을 걷고 있었다. 일흔에 첫 시집을 내고 일흔이지만 젊은 시인들과 술잔을 나누며 문학을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그의 부지런한 행군이 가져다주는 행복의 열매인듯 하다.
출판기념회는 6월 18일 오후 6시 백석동 퀸스 웨딩홀에서 고희잔치와 함께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