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등재된 태극권, 몸과 마음의 건강 지켜요
생명·건강 살리는 월요시민강좌-고영근 ‘용천 태극권수련원’ 원장
[고양신문] 지난 2021년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던 중국 고유무술인 태극권. 28일 주엽 사과나무치과병원에서 열린 ‘ 생명·건강 살리는 월요시민강좌’에는 국내 유일하게 중국 양가의 전통양식태극권을 사사한 고영근 용천 태극권수련원장이 강사로 나섰다.
태극권과 그의 인연은 1993년부터 시작됐다. 고 원장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재직 당시, 중국에서 태극권에 입문했다. 10년 정도 중국 산서성 태원에서 양진탁 노사로부터 전통양식태극권을 사사했고, 중국 하북성 한단시 및 상해시 국제대회에 참가해 수상하기도 했다. 2004년 겨울부터는 부산지역 주민 및 대학에서 지도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는 고양시 우슈협회장으로 활동하며, 2018년 개원한 용천 태극권에서 태극권 보급을 위해 직접 수련을 지도하고 있다.
--------------------------------
100세 시대에 건강 지키는 태극권
태극권(太極拳)은 1990년도 북경아시안게임부터 시작된 정식 스포츠 종목이다. 2002년 제14회 아시안게임 때, 태극권 우슈 종목에는 열 몇 개의 금메달이 있다. 우슈는 한국말로 무술을 뜻한다. 태극권은 2021년 말, 유네스코 인류 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가끔 태극권에 종교적인 색채가 있다는 오해가 생기기도 하지만, 종교와는 거리가 멀다. 태극권의 가장 큰 장점은 신체에 무리 없는 전신 운동이라는 점이다. 100세 시대에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중강도 전신 운동이다.
태극권에는 현대태극권과 전통양식태극권이 있다. 현대태극권은 24식 태극권으로 국가에서 제정했다. 무술보다는 건강에 집중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형상미를 중시한다. 전통양식태극권은 49식 태극권을 이른다. 개인이 창안한 무술이며, 건강보다는 무술적인 실용성을 중시한다. 소박하고 화려함을 추구하지 않아 동작이 크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다.
움직이며 하는 명상
태극권은 내가권(內家拳)이다. 중국 무술은 내가권과 외가권으로 나뉘는데, 외가권은 대표적으로 소림사의 소림권, 당랑권, 취권 등 강력한 힘과 스피드를 중심으로 하는 무술을 말한다. 내가권은 그와 정반대로, 자연권, 철권, 유권이 해당된다. 힘과 속도 보다는 마음, 호흡, 동작의 조화를 중요시한다.
태극권은 건강 운동이다. 무술보다는 신체에 무리 없는 전신 운동에 비중을 둔다. 기(氣)를 운용하는 기 운동이기도 하다. 기는 눈에 보이지 않고 만질 수도 없지만,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이의운기(以意運氣), 이기운신(以氣運身)이 태극권의 핵심이 되는 기 운용 정신이다. 마음이 있는 곳에 기가 있고, 기가 있는 곳에 몸이 있다는 뜻이다. 마음으로서 기를 움직이고, 비로소는 신체를 움직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태극권에는 공력 증진과 건강 증진을 위한 두 가지 명상이 있는데, 가만히 정지된 상태에서 하는 명상인 참장공과 움직이면서 하는 명상인 행보공이 있다. 명상은 태극권의 가장 중요한 수련 중 하나다. 참장공은 입선(立禪), 행보공은 동선(動禪)이라고 한다. 움직이는데 어떻게 선이 되느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태극권에서는 마음과 호흡, 동작을 조화롭게 만들어 선을 만든다. 동작, 팔과 다리, 호흡까지 모든 게 조화를 이루고 평화스러워져야 가능하다.
느림의 미학
태극권을 통해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있다. 태극권 동작의 특징을 이해하면 깊은 뜻까지 이해할 수 있다.
만(慢)은 느림을 뜻한다. 동작을 천천히 하면서 손과 발, 몸이 조화롭게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느리지만 동작을 정확히 할 수 있고, 운동 효과를 증진할 수 있다. 유(柔)는 부드러움을 뜻한다. 이유극강(以柔克剛), 즉 부드러움을 통해 강함을 극복한다. 원(圓)은 원형을 말한다. 태극권의 동작은 직선이 아니라 원형을 그리는 동작이 대부분이다. 균(均)은 균일을 뜻한다. 동작이 보기엔 쉬워도 동작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크고 작은 동작을 모두 일정한 속도로 진행해야 한다. 송(鬆)은 몸과 마음의 이완과 평정을 뜻한다. 송은 태극권에서 가장 어려운 개념이다. 부단히 비워야 몸과 마음을 이해할 수 있고 마음이 고요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태극권, 심신의 건강을 찾기 위해
태극권의 심적인 효과로는 정서안정, 집중력 향상, 불안감과 우울증 해소 등 현대인 고질병을 치유한다. 마음이 차분해지고,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어 마음의 건강을 얻을 수 있다. 마음뿐 아니라 신체도 다스릴 수 있는데, 하체 근지구력과 평형 능력이 향상된다. 노인들의 낙상 예방과 척추질환 개선을 돕기도 한다. 심혈관 기능 개선을 통해 고혈압, 당뇨 등 성인병에도 효과적이다.
태극권 수련에서 효과적인 수련을 하기 위해 명심해야 할 것들이 있다. 먼저, 유명한 사람만 찾아가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다. 깨우친 사람을 사부로 모시는 것이 중요하다. 유명한 사람보다 공원에서 만난 노인에게 훨씬 많이 배우기도 한다. 둘째, 태극권의 요결은 음양이다. 태극권 동작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양의 조화를 잘 이루어야 한다. 음양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 사람이 태극권의 고수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꾸준하게 수련하는 것이다. 꾸준히 수련하는 것이 어떤 것도 이길 수 없는 큰 힘을 갖게 한다. 넷째, 서두르지 않고 계속 반복해야 한다. 자만하지 않고 천천히 나아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기본 수련에 충실해야 한다. 기초가 튼튼해야 어떤 동작에서도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