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교통사고 20곳,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기 설치

도, 교통약자 보행환경 조성 2억5천만원 고양에 투입 3곳, 바닥형 신호등도 설치

2023-03-28     윤시영 기자

[고양신문] 경기도가 이번달부터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해 ‘교통약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시행한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총 예산 54억원 중 약 5%인 2억5000만원이 투입되어 고양시 23개곳에서 개선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도에서 공개한 교통약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은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 사고를 예방을 위해 교통안전표지, 미끄럼방지포장, 보행자 방호울타리, 과속단속카메라 등의 도로교통안전시설을 어린이보호구역 인근지역이나 노인‧ 장애인보호구역 등에 설치·정비하는 내용이다. 해당 사업은 개선사업에 소비되는 54억을 경기도와 각 시‧군이 27억씩 나누어 1:1로 부담하는 형태이다. 고양시의 경우, 도비 지원 27억 중 약 5%에 해당하는 1억 2500만원과 시 예산 1억2500만원을 합쳐 총 2억5000만원이 개선사업에 투입할 계획이다.

고양시에서 신청한 개선사업은 총 2가지로 △화정중앙공원 앞 등 교통사고 다발‧우려지역 20곳에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기 설치 △대화노인복지관 등 노인‧장애인보호구역 3곳에 바닥형 신호등 설치이다. 

우선, 화정중앙공원 등 20곳에 설치하는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기는 녹색 보행등의 잔여시간을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돕는다. 탄현동에 거주 중인 정은찬(20세) 씨는 “그동안 잔여시간이 표시되지 않아, 신호등이 깜빡거릴 때 무작정 눈대중으로 파악해 횡단보도를 건넜다”라며 “횡단 중 신호가 바뀌는 등 위험한 순간들도 많았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대화노인복지관 외 3곳에 기존 신호등과 연동해 녹색과 적색으로 점등하는 바닥형 신호등도 설치할 예정이다.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 보행자 혹은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보행자가 바닥을 보고 있어도 신호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가 횡단보도 부근 보행자를 보다 수월하게 확인 가능하다. 교통안전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바닥형 신호등 설치를 통해 교통신호준수율이 90%대로 높아졌다.

해당 사업은 지난 2월 ‘23년 사업지침 수립이 완료되어 3월 중으로 각 시‧군의 신청을 받아 사업대상지 확정 후 보조금을 교부한다. 현재 예산 지원이 완료되어 각 시‧군에서 올해 12월까지 모든 개선사업을 마칠 계획이다. 시 차원의 사업 신청은 마감되었지만, 사업 진행 중 주민반대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변경 신청이 가능하다. 

천병문 경기도 도로안전과장은 “도민의 보행교통 안전확보와 쾌적한 보행환경 편의증진을 위해 31개 시·군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긴밀히 협력해 내실있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바닥형 신호등 설치 예시. 사진제공=고양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