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S지구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용역 착수… 후보지 지정 6개월 만에
2차 유찰 후 결국 국책기관 산업연구원이 용역 맡아
내년 3월 산자부에 지정 신청
내년 9월 지정 여부 판가름 전망
[고양신문] 고양시 JDS지구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받기 위한 개발계획 수립 용역이 착수됐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지난 10일 용역사와 계약을 맺음과 동시에 용역이 착수됐고, 내년 4월 9일까지 11개월간 용역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당초 고양시는 경자구역 신청서를 올해 안에 제출하는 것으로 발표해왔지만, 내년 4월까지 용역이 진행됨으로써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자구역 신청 역시 내년 4월 전후로 미뤄지게 됐다. 시 경제자유구역 TF팀은 “용역이 마무리될 즈음인 내년 3월경 경자구역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당용역을 맡은 업체는 산업연구원이다. 산업연구원은 국내외 산업과 무역통상 분야를 서로 연계해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책연구기관이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올해 1~2월 두 차례에 걸쳐 해당용역에 대한 입찰공고를 냈으나 참가업체가 한 곳도 나타나지 않자 수의계약 형태로 산업연구원과 용역 계약을 맺은 것. 작년 11월 고양시 JDS지구가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로 선정된 지 6개월 만에 개발계획용역이 착수된 셈이다.
경자구역 개발계획 수립 용역 대상지는 고양시 JDS지구 26.70㎢(약 800만평)뿐만 아니라 안산시 사이언스밸리 3.70㎢(약 110만평)도 포함된다. 고양시 JDS지구에는 일산테크노밸리, 방송영상밸리, CJ라이브시티 등 향후 개발이 이뤄질 부지가 대거 포함되어있다. 안산 사이언스밸리 역시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와 경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200여개의 중소·벤처기업과 4600여명의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번 개발계획 수립 용역은 고양 JDS지구와 안산시 사이언스밸리를 경자구역으로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볼 수 있다. 또한 경자구역 최종 결정권자인 산업통상자원부가 이 두 지역을 경자구역으로 지정할지 유무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이번 용역에 소요되는 비용은 2억5000만원으로, 이중에서 경기도가 1억5000만원, 고양시와 안산시가 각각 5000만원을 분담한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용역에서는 사업 타당성, 비전 및 추진전략, 외국인 투자유치, 기반시설 확보, 경제적 파급효과 등에 대해 분석하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산자부의 심의 절차 등을 감안하면 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는 내년 9월께 결정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번 용역이 진행되는 동안 고양시 경제자유구역 TF팀의 역할은 산업연구원에게 고양시의 현황과 요구사항을 알리고 계획수립에 필요한 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대영 시 경제자유구역 TF팀장은 “고양시의 강점, 전략, 요구사항 등을 산업연구원에게 잘 알리고, 이러한 점이 용역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료를 잘 가공해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 JDS지구와 안산 사이언스밸리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경기도 내 경제자유구역은 평택 현덕지구(2.32㎢), 평택 포승지구(2.04㎢), 시흥 배곧지구(0.88㎢)에 더해 5곳, 면적은 35.64㎢로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