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릉천 하구와 좌·우 농경지’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대상 수상
2023 ‘이곳만은 지키자!’ 시민공모전 공릉천친구들 “시민의 힘으로 얻은 쾌거” 한강유역환경청 공릉천 하천정비사업 생태적 관점 전환하라는 요구 힘 얻어
[고양신문] 공릉천친구들(상임대표 조영권)이 응모한 ‘공릉천 하구와 좌·우농경지’가 한국내셔널트러스트(이사장 조명래)가 주최하는 제21회 ‘이곳만은 지키자!’ 시민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7일 서울 남산 문학의집에서 열렸다.
‘공릉천친구들’은 생태계를 위협하는 공릉천 하구 하천정비공사를 막아내고 풍요로운 생태를 지켜내기 위한 고양파주 시민들의 모임이다. 공릉천친구들이 이번 공모에서 대상을 수상함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한강유역환경청의 공릉천하구 하천정비사업이 생태계 보전에 더욱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요구가 힘을 얻게 됐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콘크리트 배수로 설치, 도로포장 공사가 하천과 농경지를 잇는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하며 “현시점에서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불필요한 개발과 인위적 간섭은 중단하거나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상식에 참여한 공릉천친구들 조영권 상임대표는 “공릉천 하천정비사업으로 훼손되고 있는 공릉천 하구를 지켜 후손에게 물려줄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공릉천 하구를 자연습지보호지구로 지정되도록 보다 폭넓은 시민운동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릉천 하구와 좌·우 농경지는 바닷물이 들고 나는 기수역 구간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철새의 4분의 1이 거쳐가는 세계적인 생명 다양성의 보고이다. 또 생태와 경관이 매우 뛰어난 지역으로 생태관광지로서의 경제적 가치와 잠재력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한강유역환경청은 2021년부터 공릉천 하구의 제방둑을 높이고, 둑마루를 포장하고, 좌·우에 거대한 수로를 만드는 하천정비사업을 195억원 예산을 들여 진행하고 있다. 공릉천친구들은 “이 공사로 공릉천과 송촌리·갈현리 논을 넘나들며 살아가는 생명들의 생존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공사를 이유로 뚝방의 관목과 풀들을 모두 베어내어 단풍잎돼지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는 점도 커다란 문제다. 더구나 공릉천 하구의 좌·우 농경지에 서식하던 멸종위기종 수원청개구리와 금개구리를 임진강변으로 포획·이주하여, 멸종위기종의 보호에 앞장서야 할 환경부가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시민들은 ‘공릉천지키기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공릉천에 깃든 생명 지키기 시민캠페인 ▲파주시와 한강환경유역청에서 기자회견 ▲공릉천 하천정비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토론회 ▲파주시청, 한강유역청, 국회의원 및 시도의원과의 면담 ▲공릉천 모니터링과 공릉천 자연학교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생태 하천인 공릉천을 지키기 위한 노력들을 펼치고 있다. 고양신문도 지난해 2월 이 문제를 가장 먼저 보도해 지역 여론을 환기시켰고, 공릉천친구들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보도하며 공릉천지키기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주최하고 환경부-문화재청-한국환경기자클럽이 후원하는 ‘이곳만은 지키자!’ 시민공모전은 우리 주변에 보존가치가 높지만 훼손위기에 처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선정하는 시민 캠페인이다. 시민들과 지역의 시민단체가 추천한 지역에 대해 네티즌 평가와 서류심사 그리고 전문가 현장심사를 거쳐 ‘올해의 꼭 지켜야 할 자연·문화유산’을 선정한다. 올해 수상 내역은 아래와 같다.
▲대상 ‘공릉천 하구와 좌우 농경지’ ▲환경부장관상 ‘구례 사포마을 다랭이논’ ▲한국환경기자클럽상 ‘금호강 팔현습지’ ▲아름다운자연문화유산상 ‘옥천 골프장 예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