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시장, 종속적 서울 편입에 '선긋기'

수도권 재편 다자협의체 제안 김포·구리시장과 다른 목소리 편입 기대 져버려 ‘지지철회’도 

2023-11-24     이병우 기자
21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제2차 정기회의에 참가한 이동환 고양시장(왼쪽 두번째.[사진제공=고양시]

21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제2차 정기회의에 참가한 이동환 고양시장(왼쪽 두번째.[사진제공=고양시]

[고양신문] “주변 도시의 서울 편입이 아닌 수도권 재편 차원에서 메가시티 서울을 검토해야 한다. 고양시의 이름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서울과 대등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이 지난 21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며 기존 주변도시의 서울 편입 논의와는 선을 그었다. 고양이 서울에 종속적으로 흡수되는 것보다 고양의 정체성을 유지한 채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는 만큼 인프라와 권한 등을 나누는 기능 중심의 ‘연합 도시’를 꾸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시장은 또한 수도권 재편 논의를 위해 정부와 서울, 주변도시 등 해당 지자체들이 참여하는 ‘수도권 재편 다자협의체’를 구성하자는 제안도 했다. 서울과 해당 지자체 간 일대일 협상 방식을 거부한다는 의미다. 이는 김포시와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주장하면서 재정 특혜 등을 요구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목소리다. 48만 명의 김포 인구, 18만 명의 구리 인구와는 달리 고양의 인구는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향후 고유 권한을 가질 수 있어 이들 도시와 차별성이 존재한다는 점이 고려됐다고 볼 수도 있다. 더구나 이동환 시장은 고양·수원·용인·창원 등 4개 특례시 지자체장이 속한 ‘특례시시장협의회’ 회장이다. 종합하면, 이동환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에 편입하지 않은 채 서울로부터 일정 정도 인프라와 권한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중재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양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 시장이 제안한 ‘수도권 재편 다자협의체’를 받아들였다고 발표했지만, ‘수도권 재편 다자협의체’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게 중론이다. 서울 편입 이슈 자체가 집권 여당 대표에 의해 촉발됐고, 내년 4월 총선을 겨냥해 경기권 표심 끌기의 일환으로 갑작스레 튀어나온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당장 정부나 다른 지자체에서 동조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동환 시장의 ‘수도권 재편’ 발상이 서울시에 일방적으로 편입하려는 김포·구리 지자체장의 자세보다는 낫다는 의견도 있다. 정석 서울시립대 교수는 “인위적인 행정구역 통합보다는 기능적으로 도시를 서로 연결해 상생하는 방식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시장이 오 서울시장을 만나 서울 편입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길 기대했던 시민들로부터는 반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 시장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했던 지역 커뮤니티에서는 ‘지지 철회’를 밝히는 글이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