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등 개발 시도때마다 시민들이 보전 앞장
개발 압력 끊이지 않는 개명산 골프장, 테마파크, 납골당 이어 고양시 ‘소각장 후보지’로 낙점 주민들 “기피시설 독박 씌우나” 환경단체 “생태보전지구 지정을”
[고양신문] 고양시의 생태계 보고로 첫손에 꼽히는 개명산은 지난 30여 년동안 골프장, 테마파크, 납골당 등 여러 차례 개발 시도가 있었고, 그때마다 시민들이 힘을 모아 막아냈다.
첫 개발 시도는 1990년대 말 골프장 건설 계획이었다. 올림픽CC를 운영 중인 (주)올림픽스포츠코퍼레이션은 1994년부터 벽제동 산 2의 1 개명산 자락 9만여 평에 9홀 규모 대중골프장을 추진해 1999년 말 고양시에 도시계획시설 변경(녹지지역→운동장) 승인을 요청했다.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 속에 주민공람과 도시계획자문위원회를 거쳐 2001년 12월 고양시의회까지 통과한 골프장 개발 사업은 도시계획시설(체육시설) 결정권을 가진 경기도에 의해 제동이 걸렸다. 도는 ‘보존 가치가 높은 녹지 자연도 8등급이 포함돼 자연환경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경인지방환경청의 의견을 받아들여 불가 판정을 내렸다.
골프장이 불발된 뒤 개명산 개발 논란은 놀이시설과 추모공원 조성사업으로 번졌다.
고양시는 2003년 8월말 경기도가 10만 평 규모의 에버랜드급 놀이시설(가칭 토이랜드) 조성을 추진하자 돌연 유치 경쟁에 뛰어들면서 개명산을 사업 부지로 추천했다. 개명산 관리를 맡고 있는 산림조합도 국유림 6만여 평을 녹색환경추모공원 조성사업 후보지로 내정해 2005년말까지 3만위 규모의 납골당을 건립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맞서 환경단체는 개명산은 개암나무, 쪽동백, 서어나무, 삼지구엽초, 노랑제비꽃, 큰괭이밥 등 다양한 수종이 분포돼 있고 가재, 도롱뇽, 플라나리아, 날도래, 강도래, 버들치, 옆새우 등 수서 생물도 다양하게 서식해 생태공원 및 자연학습장으로 가치가 높다며 생태보전지구 지정을 주장했다. 하지만 환경단체의 이같은 구상은 부지의 46%가 사유지인데다 서울시립묘지, 군부대 등으로 낙후된 마을 주민과 토지주의 동의를 얻는 데 실패했다. 고양시는 골프장 협의가 진행되던 2001년 9월 이 일대에 대해 '자연생태 우수마을' 지정을 추진해 부서간 정책 혼선을 드러내기도 했다.
최근 고양시는 고양동 일대를 630톤 규모의 쓰레기소각장 후보지로 선정해 또다시 주민 반발을 사고 있다. 고양동 주민 300여 명은 지난 5월 29일 시청 앞에서 시위를 열고 소각장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유미정 고양동 주민자치회장은 “그동안 승화원과 서울시립묘지, 폐차장 같은 기피시설만 고양동에 잔뜩 들어왔는데 쓰레기소각장까지 이곳에 짓겠다는 건 기피시설 독박 아니냐”고 따졌다. 박평수 고양기후위기비상행동 상임대표는 “고양동은 분지 형태여서 소각장에서 나오는 연기가 빠져나가지 않고 정체되는 문제가 있어 입지로 부적합하다. 개발 압력이 높은 사유지를 매입해 개명산을 생태보전지역으로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