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밸리 ‘원형 그대로’ 추진?… 구체적 방법론 “아쉽다” 

<고양 국회의원-김동연 지사 긴급회동> “아파트 짓는다” 소문 일축  원안이 CJ 계획안인지 불분명 CJ가 동의해야 원형대로 추진 ‘건설-도·운영-민간’안도 미지수  

2024-07-18     이병우 기자
고양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인 이기헌·김영환·김성회 의원이 지난 16일 김동연 지사와 긴급회동을 갖고 K-컬처밸리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제공 = 경기도]

[고양신문] 경기도가 K-컬처밸리 사업을 원형 그대로 추진한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해 아쉽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는 민주당 이기헌·김영환·김성회 국회의원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긴급회동을 갖고 K-컬처밸리 사업 추진을 위해 △원형 그대로 추진  △신속한 추진 △책임 있는 자본 확충 등 3개항에 합의했다고 17일 밝혔다.

경기도는 또한 “건설은 경기도가 하고 운영은 민간이 맡아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데 뜻을 모았다”면서 “경기도가 GH와 협력해 건설은 책임진다. 그 뒤 운영은 유수의 국내외 엔터테인먼트사가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이어 “CJ에게도 운영에 참여할 문이 열려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경기도는 “K-컬처밸리 특별회계 신설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는 K-컬처밸리 특별회계 신설에 대해 “고양시민께서 걱정하지 않도록 현물출자를 통해 사업비를 마련할 것”이라면서 “이 돈은 다른 곳에 쓸 수 없고 오직 K-컬처밸리 건설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긴급회동에 참여한 이기헌 국회의원은 “경기도와 김동연 도지사가 이른 시일에 비교적 분명하게 입장을 밝히게 했다는 점은 성과”라면서 “경기도가 자체 예산을 투여해 건설에 참여하고 운영은 컨텐츠 노하우를 가진 전문 엔터테인먼트사에 맡기겠다는 의도는 진일보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계약 해제에 따른 고양시민의 반발이 거세지자, 이를 진화시키기 위해 경기도가 서둘러 수습에 나섰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찾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경기도가 신속한 공영개발 추진을 현실화하기에는 방법론에서 구체성이 덜 갖춰졌다는 지적이다. 

우선 경기도가 K-컬처밸리 사업을 원형 그대로 추진한다고 약속했지만, 여기서 ‘원형 그대로’라는 말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문제가 남아 있다. 단순히 ‘지금 아레나 자리에 아파트를 지을 것’이라는 세간에 떠도는 말을 공식적으로 부정하기 위한 의도인지, 아니면 말 그대로 CJ 라이브시티가 세운 사업계획을 이어 받겠다는 의도인지 경기도는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만약 CJ 라이브시티가 세운 사업계획을 이어 받아 경기도가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라면, 경기도는 스스로 모순에 빠진다는 지적이다. 이춘열 고양풀뿌리공동체 정책위원은 “CJ가 만든 계획안을 CJ 동의 없이 경기도가 마음대로 이어받을 수 없는 노릇”이라며 “현재 경기도와 CJ는 양자 간 소송에 대비해 책임을 전가하는 여론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이 정책위원은 “CJ가 세운 사업계획을 경기도가 이어 받으려면 반드시 양자 간 사전 협의가 필요한데, 지금 상황은 거꾸로 양자 간 공방만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건설은 경기도가 하고 운영은 민간이 맡아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경기도의 의도에 대해서도 의구심이 제기된다. 건설과 운영이 완전히 분리될 수 없고 맞물려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 전문가는 “운영업자가 설계와 시공에 관여하지 않고 오로지 운영만 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운영 성과와 수익은 설계와 시공이 어떠하냐와 직결되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이 전문가는 이어 “더욱이 K-컬처밸리 사업 성격 상 보통 건설비보다 초기 운영비가 더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사업 성격 때문에 설계와 시공에 관여하지 않고 오로지 운영에만 신경 쓸 새로운 운영업자를 찾을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