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 관성소지·상창지 발굴… 조선후기 방어 무기 한가득 쏟아져

경량화포 ‘목모포’ 실물 추정 부재 최초 발견 관아 규모 실측… 철환, 화살촉 등 대량 출토 도성 방어 위해 축성된 북한산성의 역할 실증

2024-07-18     유경종 기자
북한산성 관성소의 중심건물인 대청지 발굴조사 현장. [사진제공=고양시]

[고양신문] 북한산성의 관아 건물터인 ‘관성소지 및 상창지’에서 조선후기 북한산성을 지키던 방어무기가 대량으로 출토됐다. 고양시와 백두문화연구원이 국가유산청의 허가와 경기도 예산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발굴작업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 방어무기들은 북한산성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라 학계의 관심을 모은다. 

무기가 발견된 관아터의 공식 명칭은 ‘고양 북한산성 관성소지 및 상창지’다. 관성소는 1712년 설치된 관아로서 지휘관인 관성장(管城將)을 배치해 산성, 행궁, 3군영(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승영사찰 등의 관리와 운영을 맡았던 곳이고, 상창은 관성소에 속한 창고 건물이다. 18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북한산성의 실질적인 관리와 운영을 담당했지만, 안타깝게도 1915년 6월 집중호우와 산사태로 행궁과 함께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건물의 흔적인 관성소지와 상창지가 2021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사진 속에 남아있는 북한산성 관성소지와 상창지 모습(1911년 베버 촬영). [사진제공=고양시]

이번 발굴조사는 관성소지와 상창지에 대한 고고학적 기초자료를 수집해 향후 보존·정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조사 결과, 중심 건물인 대청은 19×12m 크기로, 2개의 온돌방과 대청마루를 갖춘 총 18칸 건물로 확인됐다. 아울러 유적 내 부속 건물인 내아(內衙), 군관청(軍官廳), 집사청(執事廳), 서원청(書員廳), 군기고(軍器庫), 향미고(餉米庫) 등도 함께 조사됐는데, 2개 이상의 문화층이 확인돼 1712년 설치 이후 1차례 증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부속 건물 중 군량미를 보관했던 향미고의 조사 결과가 특히 주목을 받았다. 너비 5m, 길이 42m 단일 형태의 건물로 확인됐는데, 이는 조선시대 산성 내 군량 창고 중 최대 규모다. 벽체는 70∼90㎝의 석축 내력벽으로 3.3m 간격으로 기둥을 세운 후 외면에 회칠을 했고, 바깥으로는 배수로와 차수벽을 추가로 만들었다. 무엇보다도 내부에서 방어 무기류인 목모포(木母砲)의 실물 추정 부재를 비롯해 철환, 화살촉 등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향미고에서 무더기로 출토된 화살촉. [사진제공=고양시]

목모포는 조선후기의 대표적 무기였던 불랑기포(佛狼機砲)를 경량화하기 위해 나무로 만든 화포를 말한다. 재료 특성상 무게가 가볍고 제작이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백두문화연구원 관계자는 “목모포는 금속재 화포에 비해 상당히 가볍기 때문에 북한산성과 같은 산악 지형에서 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최적화된 무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1808년 저술된 『만기요람』에는 북한산성 내에 목모포를 총 624좌 보관했다는 기록이 있다”면서 “나무로 만들어진 탓에 그동안 실물 형태는 파악하지 못한 상태였는데, 이번 조사에서 실체를 발견하게 된 것”이라며 발굴의 의의를 강조했다.

최초로 발견된 목모포의 부재들. [사진제공=고양시]

이번에 출토된 대량의 무기류 등은 조선후기 북한산성이 한양도성의 방어를 위한 입보산성(入保山城, 들어가서 지키는 산성)으로 축성됐음을 보여주는 물적 증거이자, 18세기 수도 한양의 방어 전략을 구체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아울러 목모포 실물 추정 부재에 관한 최초 발견은 조선후기 무기사 연구에도 획기적인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고양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북한산성의 유산 가치가 새로이 조명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향미고 발굴조사 현장. [사진제공=고양시]
향미고에서 발견된 목모포 부재 발굴 현장. [사진제공=고양시]
철환이 대량 출토된 향미고 발굴 현장. [사진제공=고양시]
군기고에서 발견된 목모포 부재 발굴 현장. [사진제공=고양시]
목모포 추정 복원도(서울시청 신영문 학예연구관 도안). [사진제공=고양시]
발굴 현장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59번지. [사진제공=고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