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수면 무호흡증의 치과적 치료법

오정규 사과나무치과병원 센터장의 건강칼럼

2024-07-28     오정규 사과나무치과병원 구강내과 센터장

[고양신문] 코골이는 호흡 시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현상이다. 우리가 숨을 쉴 때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은 구조물을 지나게 된다.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줘 공기 통로를 막지 않지만, 수면 시에는 근육들이 이완돼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가 좁아지게 되고 이 부분으로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늘어진 근육들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코 고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서는 과도하게 기도 부위 근육 이완이나 기타 원인으로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완전히 막혀 폐로 공기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 무호흡증이라 한다. 수면 무호흡증의 현상이 되풀이되면 낮 동안이나 일상생활에서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데, 장시간 지속하는 경우 심폐 기능에 부담이 가중돼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코골이에 대한 일반적인 생활 대처방법으로 옆으로 누워서 자기, 술과 약물 금하기, 체중 줄이기,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등을 통해서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심하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는 개선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 수술이나 호흡 장치(CPAP·양압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치과 영역에서도 구강 내 장치를 사용해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이미 많이 이뤄지고 있다.

수술적 접근은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환자의 수술에 대한 부담, 합병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수면 시 산소공급장치를 착용해 연속적으로 기도를 통해 공기를 밀어 넣는 호흡 장치도 사용할 수 있지만, 장비가 고가이고 수면 시 불편감을 줄 수 있다.

이와 달리 수면 시 구강 내 장치를 사용하면 수술에 대한 부담 없이 수면 중 호흡 장애를 감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가 있는데, 대부분 장치는 턱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확보된 기도를 통해 공기 이동에 도움을 준다. 또한, 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중등도 이하의 코골이에는 호흡 장치(CPAP·양압기)만큼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오정규 사과나무의료재단 사과나무치과병원 구강내과 센터장

이와 같은 구강 내 장치는 일반적인 생활습관 교정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 우선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호흡 장치 사용을 거부하는 경우, 수술을 원치 않는 경우, 또는 수술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수면 중 무호흡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기보다는 본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해 더욱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