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상인들, ‘꼼수 허가’ 마트킹 입점 반대

2024-09-07     이로운 기자
상인 300여 명이 6일 고양시청 앞에서 “마트킹으로부터 고양시 상인들의 생존권을 지키자”며 집회를 열었다. 상인들은 "마트킹 허가를 반대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300여명 상인들 시청 앞 집회 
법망 피한 ‘쪼개기 허가’ 반대 
“주변 중소형 마트는 초토화” 

[고양신문] 일산동구 중산동에 입정 예정인 대형마트 ‘마트킹’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게 된 인근 전통시장 등 소상공인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일산시장 상인회(회장 박해균)를 중심으로 12개 단체와 지역 상인들은 6일 고양시청 앞에서 마트킹 입점 결사반대 집회를 벌였다. 
이날 300여 명의 상인들은 ‘박리다매 전략’과 ‘쪼개기 허가’로 알려진 마트킹 입점을 반대하기 위해 장사를 포기하고 거리로 나왔다. 이날 마트킹 반대집회에는 일산시장 상인회, 일산5일장 연합회, 원당전통시장 상인회, 고양시 슈퍼연합회, 덕이동패션1번가, 삼송상점가, 일산서문상점가, 경기도상인연합회 고양시지부, 경기도상인연합회 남양주시지부, 전국상인연합회, 소상공인연합회, 시민연대연합회가 참여했다.  

집회에 참여한 상인들은 마트킹의 ‘쪼개기 허가’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박해균 회장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점포 쪼개기와 법인 쪼개기의 교묘한 꼼수로 법망을 피해 우리의 생업과 상권을 침해할 것”이라며 “이런 방법으로 연간 수천억이라는 막대한 이익을 누리는 마트킹의 입점을 결사반대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일산전통시장은 마트킹과의 거리가 1.3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집회에 참여한 한 상인 역시 “고양시가 마트킹의 ‘쪼개기 허가’를 승인하면 엄청난 규모의 판매시설이 형성돼 인근 시장상권과 중소형 마트는 말 그대로 초토화된다”고 말했다.

고양시를 향해선 "이는 골목상권 보호와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목적의 유통산업발전법 취지에 맞지 않으며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규제라는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 코로나 3년을 버텨왔고 지금도 하루하루 살아가기조차 힘든 전통시장 상인들과 고양시 10만 소상공인, 자영업자, 골목상권 상인들의 절박함과 어려움을 외면하는 고양시와 공무원들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6일 시청앞 '마트킹 반대집회'에는 일산시장 상인회, 일산5일장 연합회, 원당전통시장 상인회, 고양시 슈퍼연합회, 덕이동패션1번가, 삼송상점가, 일산서문상점가, 경기도상인연합회 고양시지부, 경기도상인연합회 남양주시지부, 전국상인연합회, 소상공인연합회, 시민연대연합회가 참여했다. 

2008년 1월 1일 ㈜농민마트로 출범한 ㈜마트킹은 현재 11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 마트킹 지점들은 주로 수도권에 자리를 잡았고 고양시 진출을 위해 일산동구 중산동 1849번지 부지를 매입했다. 이곳 총 1만1353㎡(3434평)의 대형부지는 원래 ‘대형 판매시설’(3000㎡ 이상 기준)인 롯데마트 입점 예정 부지였다. 하지만 마트킹은 이 부지를 롯데마트로부터 512억원에 재매입해 마트를 운영할 계획이다.

상인회에 따르면 마트킹은 3000㎡(907평)보다 약간 모자란 2800㎡(847평)로  ‘중소형 판매시설’로 허가받아 건물 사이 간격을 1m만 떨어트려 놓은 채 총 두 동을 지을 예정이다. 마트킹은 타 지역에서도 이미 쪼개기 허가 이슈로 인근 소상공인들의 반대가 거셌다. 하지만 고양시는 지난 3월, 7월에 거쳐 이미 교통영향평가와 경관심의를 통과시켰으며 현재 고양시 건축과를 통해 건축허가만 남겨놓은 상태다. 고양시는 “아직 마트킹으로부터 건축허가가 접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입장을 말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마트킹 측은 “현재 일산의 경우 부지만 매입해 놓고 다른 지역 지점에 집중하고 있어 금년 안으로는 착공 계획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날 반대 집회에 대해선 “3000㎡이상 대규모 점포로 가지 않는다. 두 동이든 세 동이든 법에 맞게 하겠다”라고 밝혔다. 

마트킹 지점의 건축물은 대부분 비슷한 형태로 지어진다. [사진출처 = 마트킹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