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밸리 ‘건공운민’ 대규모 문화산업에 맞지 않다
K-컬처밸리 주제 고양포럼 건설부터 민간 참여시켜야 “공공, 지원하되 간섭 말아야” 경기도, CJ와 사전협의 필수
[고양신문] K-컬처밸리 개발사업을 신속하게 재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에서부터 민간기업을 참여시키자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이는 경기도가 당초 개발방식으로 내세운 ‘건공운민’(건설은 공공에서, 운영은 민간 전문기업에서 맡는다)과는 다소 배치되는 주장이다.
지난 24일 고양신문·고양포럼 주최로 열린 110회 고양포럼에서도 경기도나 GH(경기주택도시공사) 등 공공이 주도하는 건설에 대해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왔다. 17% 공정률 상태에서 작년 4월부터 공사가 중단된 아레나 공연장 건설을 경기도 혹은 GH가 이어 받아서 한다는 것은 사업성공을 불투명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이날 고양포럼에서 대안발표에 나선 이춘열 고양시 풀뿌리공동체 정책위원장은 “문화사업에는 위험을 감수하는 민의 창조적 도전 정신이 필요하며 공공기관은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면서 “건공운민 사업방식은 대규모 문화사업에 적합하지 않고, 건설단계부터 운영주체를 포함하는 민관합동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고양포럼에 참석한 김상수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건공운민’에 대해 “건설을 경기도가 한다는 뜻이 아니라 경기도는 자본을 투입한다는 의미”라며 “전문공연장을 짓는 것은 국내에서 한화건설 외에 생각할 수 없다. 경기도는 민간의 참여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가장 빠른 사업 재개 방식을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가 지난 7월 기자회견에서 “경기도가 GH와 협력해서 건설은 책임진다. 그 뒤 운영은 유수의 국내외 엔터테인먼트사가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것보다 한 발 물러선 발언이다.
이날 고양포럼에서는 서로 사업협약 해제를 통보했지만 경기도는 CJ와 사전협의를 다시 해야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이춘열 위원장은 “원형유지 건설과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CJ와의 사전협의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김영환 국회의원도 이날 고양포럼에서 “GH가 판교테크노밸리 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했던 경험이 있지만 아레나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에는 또 다른 전문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CJ 측과 계속 협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고양포럼은 경기도와 CJ 간 맺은 사업협약이 해제된 이유에 대해 냉철하게 되짚어보는 자리이기도 했다. K-컬처밸리 개발사업이 정치적 공격 대상이 되면서 지체된 점, 한류천 수질오염문제, 전력공급 차질,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문제가 불거진 점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본질적으로 사업성이 확보되지 못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상수 경기도 국장은 “2016년 기본협약 이후 8년 동안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이유 중에 가장 문제는 사업성이 확보되지 못했다는 점”이라면서 “오는 12월까지 사업성을 보완하는 예비용역을 통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과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