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희 의원 “데이터센터 인한 연간 세수는?” 이 시장 “파악 안돼”
시정질문 - 고덕희 시의원
이 시장 “지역경제 도움 돼
4차 산업에 반드시 필요”
연간 세수 묻자 대답 못해
“시 대책 있어야 주민설득”
[고양신문] 고덕희(식사·풍산·고봉) 시의원은 26일 열린 고양시의회 시정질문을 통해 데이터센터 건립 논란을 제기하며 주민 의견을 반영한 고양시의 정책 마련과 적극적인 행정을 촉구했다.
고덕희 시의원은 “고양시는 세수 측면에서 데이터센터의 경제적 이점을 부각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현재 고양시에서 운영되는 3개소 데이터센터로 인한 연간 세수는 얼마나 되느냐”고 물었는데, 이 시장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짧게 말해 시정질문에 대한 준비가 덜 된 모습을 보였다. 이에 고 의원은 “세수효과를 부각해 놓고 내용이 파악되지 않은 거냐”라며 “그렇다면 현재 고양시 내 운영되는 데이터센터 3곳 업체의 세수와 실제 고용 인원 등을 파악해 향후 정확한 자료를 달라”고 요청했다.
고양시에 지어졌거나 지어질 데이터센터는 총 9곳이다. 현재 운영 가동 중인 데이터센터는 장항동 726(2002.12.27 준공), 식사동 2-8(2021.7.27 준공), 향동동 585(2023. 12.28 준공) 3곳이다. 덕양구 오금동 690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6년 6월 준공예정이다. 향동동 583, 사리현동 186-4, 덕이동 509-56 등 3곳의 데이터센터는 이미 건축허가를 완료했다. 문봉동 16-2(2024.9.9 허가 접수), 식사동 293(문봉동과 동일) 2곳은 건축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다.
이날 고 의원은 반대 지역주민들과의 협의를 위해 시가 전자파로 인한 무해를 주장하기보다 주민들을 위한 확실한 대안을 요구했다. 고 의원은 “전자파가 없다며 주민들 희생만 강요하기보다는 향후 데이터센터로 인한 세수를 낙후된 비도심 지역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확실한 대책이라도 있어야 주민들을 설득하고 상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최근 고양시 내 데이터센터에 대해 찬·반 여론의 갈등이 최고조를 향하는 가운데 고 의원은 이 시장에게 확실한 찬·반 입장을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이 시장은 “데이터센터는 4차 산업에 가장 필요한 필수 건물”이라며 “데이터센터 문제는 찬성, 반대의 답변보다 꼭 필요하기 때문에 주민들이 걱정하는 우려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소통을 통해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시장은 데이터센터의 긍정적 측면에 대해 “취득세, 재산세 등으로 얻는 세수 확보와 고용창출로 지역경제에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반면 부정적 시각에 대해 “지금은 아쉽게도 부정적 이미지가 있지만 향동동 소재 데이터센터의 전자파 측정결과 전자파 영향이 미비한 수준이며, 불안감 해소를 위해 전자파 신호등을 데이터센터에 설치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고 의원은 주민들의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이유에 대해 △고양시 전력난 △환경문제(물 소모, 수질오염) △전자파 노출 △건립 과정에서 교통혼잡 △화재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의 우려로 요약했다. 이어 “현재 고양시 주민들은 이미 힘든 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덕이동 주민들은 업체와 소송 중이며, 이러한 현상은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은 결과”라고 꼬집었다.
이에 이동환 시장은 “전기는 한전과 협의를 통해 하는 것이지 고양시에 사용하는 전력과는 관련이 없다”라며 “또한 고양시 백석동에 열병합발전소가 있어 거기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 전력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부동산 가치하락 우려에 대해 “데이터센터와 인근 부동산의 상관관계가 명확히 밝혀진 사항이 없다”라며 “오히려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어 의견이 엇갈린다”라고 말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