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역세권 개발지 빠진 30만평 주민들 ‘편입' 요구

갈머리 지역·일부 내곡·대장동 주민들 전략환경영향평가 설명회서 편입 요구 “전체 개발면적 60만평의 절반 해당”

2025-08-14     이병우 기자
취락지구 주민 70여 명은 일찌감치 설명회가 열린 덕양구청 2층 대회의실에 들어와 개발지구 내 편입을 요구했다.

[고양신문] 지난 13일 덕양구청에서 열린 고양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기후변화영향평가서 설명회 자리에서는 개발 대상지에서 제외된 지역 주민들의 편입 요구가 거셌다.

특히 2만6000평, 주민 413가구에 해당하는 갈머리 취락지구 주민 70여 명은 일찌감치 설명회장에 진입해 분위기를 주도했다. 이들은 ‘갈머리취락 대곡역세권 편입 건 국토부 고양시 LH 협의체 구성하라’, ‘갈머리 그린벨트 추가 해제없는 갈머리 취락 편입하라’는 현수막을 내세우고, 이를 주장하는 머리띠와 어깨띠를 맨 채 이날 설명회를 주최한 LH 측과 각을 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지난 10여 년간 개발 제한, 기반시설 부재 등의 불이익을 감내해 왔으며 교외선 철도 재개통으로 정주환경이 한계상황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민 413가구 중 304가구(73.6%)는 개발 대상지로의 편입을 위한 서면 동의서를 LH 등 관계당국에 제출한 상태다.  

이날 갈머리 취락지구의 한 주민은 “오늘 같이 피가 퍼붓는 날, 침수 피해가 가장 심한 곳이 갈머리 지역이다. 개발 대상지 내 동식물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침수로 피해는 입는 주민들 사정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갈머리 취락지구 주민은 “갈머리는 대곡역에서 500m 이내에 위치한 역세권 핵심 입지로 현재의 개발계획에서 제외되면 최소 법적 이격거리로 인해 약 1만4000평이 추가로 개발 불가지역으로 남게 된다. 반면 편입 시, 역세권복합개발법 적용으로 고밀도 상업·업무·주거 복합개발이 가능해 고양시의 경쟁력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개발 대상지에서 제외된 일부 내곡동, 대장동의 주민들도 이날 설명회에서 목소리를 냈다.

개발 대상지에서 제외된 일부 내곡동, 대장동의 주민들도 불만을 제기했다. 내곡동의 한 주민은 이날 “대곡동, 내장동은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이다. 그런데도 일부는 포함되고 일부는 빠진 채 개발이 이뤄지면 생활수준 격차가 벌어질 게 뻔하다. 이에 대해 LH는 즉각적인 보완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일부 내곡동, 대장동 지역, 갈머리 지역 등 편입을 요구하는 지역의 면적이 대략 약 30만평이다. 이는 고양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전체 면적 약 60만평의 절반에 해당한다. 여기서 당장 이 지역들의 편입 여부에 대해 답변드릴 수 없지만, 많은 탄원서를 내는 만큼 편입 문제는 관계 기관과 계속 협의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이날 설명회에는 개발 대상지에 포함된 지역 토지주들도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감정평가사, 변호사, 법무법인 등 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더 유리하고 공정한 보상을 이끌어내기 위해 토지보상 주민대책위를 꾸렸다. 이날 한 토지주는 “매주 정기 보상대책회의를 통해 대응 전략을 세우고 있다. 고양시, 농어촌공사, LH 등 관계기관과 공식대응을 이어갈 계획인데, 보상에 대한 적절한 설명회도 열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고양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사업은 2035년까지 덕양구(내곡동, 대장동, 화정동, 토당동, 주교동 일원) 199만4293㎡(약 60만평)에 9만4000세대의 공공주택과 지식융합 관련 자족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