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재성 도의원, 창릉천 국가하천 승격 촉구

최근 집중호우로 홍수 위험 현실화 35만명 거주 중·상류, 안전 사각지대 국비 지원 확보해 지속적인 관리 필요  

2025-09-12     이병우 기자
명재성 도의원

[고양신문] 명재성 도의원(더불어민주당·사진)은 지난 9일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창릉천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명재성 의원은 이날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난 8월 13일 고양시에 내린 시간당 121㎜의 기록적 폭우로 인해 창릉천 은덕교 수위가 홍수경보를 넘어 주민 대피 명령까지 발령됐다”고 지적하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이 직접적으로 위협받았다”고 밝혔다. 명 의원은 “현재 창릉천 하류 구간만 환경부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반면, 원흥·삼송·지축지구 등 35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중·상류 구간은 여전히 안전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고 비판했다.

경기도는 2022년 말 환경부의 ‘지역맞춤형 통합하천 공모사업’에 창릉천 사업을 신청해 최종 선정됐으나, 이후 정책 변화와 국비 지원 축소로 사업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 이에 대해 명재성 의원은 “지역 숙원사업이 뒷전으로 밀린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밝혔다.

명재성 의원은 창릉천을 단순한 치수 시설로만 보지 말고, 서울 한강지구처럼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쾌적한 수변공원과 문화·체육 공간이 함께하는 친수 공간으로 조성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명 의원은 “창릉천의 국가하천 승격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국비 지원을 통해서만 지속가능한 정비와 관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명재성 의원의 발언은 창릉천의 치수정비를 넘어 여가와 문화가 함께하는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창릉천은 고양시 원흥·삼송·지축지구를 포함해 35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지역을 관통하는 하천으로,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위험이 현실화됐다. 이에 따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창릉천 하류 구간은 환경부 주도로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나, 중·상류 구간은 사업에서 제외돼 안전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경기도가 환경부 공모사업에 선정됐음에도 정책 변화와 국비 지원 축소로 사업이 축소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명재성 의원은 창릉천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 국비 지원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정비와 관리를 통해 도민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단순한 치수 시설을 넘어 자연과 문화, 체육이 어우러지는 친수 공간으로 조성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