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송동 난개발 대책 촉구
‘신도시 한가운데 달동네 된다’ 주민대책위 구성
주민대책위는 특히 “그린벨트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삼송신도시에 난개발 1순위 지역인 삼송동을 쏙 빼놓음으로써 녹지는 개발하고 주택밀집지역의 난개발은 그대로 방치하는 거꾸로 된 행정을 펼치고 있다”며 “강현석 고양시장은 대대손손 과오로 남을 삼송동 난개발 문제를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고양시 관계자는 “그린벨트 해제 지역과 삼송신도시 개발지역을 잇따라 발표했지만 주민들의 공식적인 이의신청이 없었고 오히려 삼송동이 신도시에 편입되는 것을 우려한 주민들이 강력한 항의를 표명해 오고 있는 상태”라며 “삼송신도시에 삼송동을 편입하는 문제가 거론되긴 했지만 주민 민원발생 등 우려되는 점이 있어 강행되진 못했다”고 말했다.
삼송동 장기발전을 위한 주민대책위 이영삼위원장은 “삼송동 대다수의 주민들은 그린벨트 해제 이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 건지, 신도시에 편입되면 어떻게 되는 건지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라며 “고양시에서 공개적인 설명회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주민 여론을 들어보는 적극적인 자세를 취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상대적으로 땅값이 비싼 지하철 역 주변 주민들이 먼저 ‘자체개발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는 삼송동 주민의 일부에 불과하다”며 “이들 주민들의 반발이 무서워 난개발을 방치하는 과오를 묵과한다면 누가 행정을 믿고 누가 시장을 믿겠냐”고 강력히 성토했다.
주민대책위원회는 삼송동 주민들이 마을의 공익과 개인의 이익이 일치될 수 있는 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신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보의 제공이 절실하다는 판단아래 이달 20일 삼송교회에서 자체 설명회를 열 계획이며 이어 1월 15일(오후 3시 고양종고 강당) 삼송동 장기발전을 위한 주민대토론회를 가질 예정이다.
한편 삼송신도시 개발지역에 대한 지구지정 확정 발표는 국방부 심의와 환경부 심의에 오랜 시간이 지체돼 예정보다 6개월 늦어진 이 달 말경 이루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삼송동 난개발 방지와 계획개발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삼송신도시 지구지정확정발표와 맞물려 더욱 뜨거운 논쟁으로 불붙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