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혁 경기도의원 “행주문화제, 호수예술축제… 둘 다 지켜내야”
경기도, 내년부터 시·군별 1개 동일지원 전환 “4만 연천군, 108만 고양시 똑같이 하나만?” 획일적 행정으로 ‘행주문화제’ 사라질 위기 50만 명 다녀가는 고양의 문화자산 존속돼야
[고양신문] 내년부터 31개 시·군별로 1개의 축제만을 동일하게 지원하겠다는 경기도의 계획이 고양시 대표축제인 고양행주문화제와 고양호수예술축제의 유지와 성장에 심각한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같은 우려는 지난 14일 열린 2025년도 경기관광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정동혁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 고양3)이 제기했다.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정동혁 의원은 “고양행주문화제와 고양호수예술축제는 이미 고양을 대표하고 경기도의 문화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했다”면서 “단순 행정 기준 때문에 축소되거나 사라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올해 경기도가 엄격한 심사를 통해 19개의 경기대표관광축제를 선정해 차등 지원한 점을 언급하며 이 제도의 취지는 ‘우수 축제의 경쟁력 강화’에 있다고 짚었다. 그러나 내년부터 축제 비중과 상관없이 31개 시·군에 1개씩을 획일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올해 우수 평가를 받은 축제조차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4만 인구의 연천군과 100만 인구의 고양시를 똑같이 ‘1개’ 기준으로 묶는 것은 실질적 형평성과는 거리가 있다”며 제도 변경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정 의원이 지적한 바와 같이 행주문화제와 고양호수예술축제는 서로 다른 역사와 가치를 지닌 축제로 성장하며 시민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아왔다. 지역적으로도 30년 전통의 ‘고양행주문화제’는 덕양구를, 참가자 만족도 최상위인 ‘고양호수예술축제’는 일산동·서구를 기반으로 축제가 진행된다.
하지만 경기도의 계획대로 지원 방식이 변경되면 둘 중 하나는 지원대상에서 무조건 제외돼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고양문화재단 측은 고양호수예술축제만 선정되고 행주문화제는 예산 부족으로 개최조차 어려워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했다.
정 의원은 “덕양·일산 간 문화 균형과 지역 정체성을 유지해 온 두 축제 중 하나가 사라지면 고양시 내부 갈등은 물론이고, 행주대첩이라는 역사적 기반을 담은 전통 축제가 단순 행정 기준 때문에 중단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전했다.
정 의원은 “2024년 두 축제의 방문객은 약 50만 명”이라며 “고양시의 역사와 일상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시민 축제가 정책 변화로 위축된다면 이는 경기도 문화행정의 치명적 실패로 귀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동혁 의원은 “고양시의 두 축제가 경기도 대표축제로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도의회에서 끝까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