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잘못 전해진 조선의 역사를 바로잡다

5000년 삶을 품은 고양시의 역사. 더 깊이 연구되어야 하고, 밝혀져야 할 것들이 참으로 많다. 앞으로 5회에 걸쳐 한성대학교 정후수 교수의 집필로 고양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고양문화시리즈’가 연재된다. 고양시 사적지의 밝혀지지 않았던 사실들을 연구고찰을 통해 밝힘으로서 밝혀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을 찾아 그 가치를 널리 소개하며 이후 더욱 깊이 있는 연구의 토대를 만들고자 한다.

지난해 복원한 영사정. 김영작은 영사정의 주인인 김주신의 증손자다.

 
‘이성계가 우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은 잘못된 기록
1863년 1월 8일, 한성판윤과 형조판서를 지낸 윤치수는 철종 임금에게 상소를 올렸다. 그 내용은, 조선 태조의 종계가 중국의 역사책에 잘못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곧 중국의 학자 정원경이란 사람이 편찬한 지방지 '이십일사약편(二十一史略編)'에 의하면 ‘태조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이며, 이성계가 우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였다’고 한 것이다.
조선 건국 당시부터 명나라 역사책에 잘못 전해진 기록을 바로잡기 위해 수없이 노력한 결과 200년 만인 1589년에야 말끔히 해결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을 종계변무(宗系辨誣)라고 한다.
그런데 270여 년 만인 철종 임금대에 이러한 잘못된 역사가 또다시 논란이 된 것이다. 철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청나라 정부에게 이를 수정해달라고 요청했고 다행히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것도 청나라 황제에게 주청을 올린 단 9일 만에 해결을 보았던 것이다.
여기에는 많은 사람의 노력이 있었음을 물론이지만 특히 김영작이란 인물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이 사실은 청나라 학자인 정공수가 조선의 역관 이상적에게 보내온 편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편지의 내용을 보면 이렇다.
“먼젓번 변무(辨誣) 사건은 김영작 형이 보내온 편지 덕분에 해결되었습니다. 조대사구(趙大司寇)와 기상국(祁相國)은 중국 사관(史館) 중 제일입니다. 황제의 명은 모두 그들 손에서 나오는데 조정에 있는 여러 노신(老臣)들 중 그보다 나은 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귀국에서 소의(疏議)를 올렸을 때 매우 빨리 황제의 윤허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김영작의 편지에서처럼 간절하고도 꿋꿋한 충성심을 다 쏟지 않았다면 이처럼 신속하게 처리될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김영작을 만나거든 고마움을 표하시고 아울러 그런 사실을 말씀드리십시오.”

편지 한 장으로 중국 황제 움직인 김영작은 누구인가?
1858년 겨울 북경에 사신으로 갔던 김영작은 당시 중국의 여러 학자들과 관리들을 사귀었는데 그 덕분에 그 인맥을 통해 국제적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김영작은 바로 영사정의 주인인 김주신의 증손자이며, 개화파 인물인 김홍집의 아버지이다.

정후수 한성대학교 교수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