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미래교육포럼 매래학교 2강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 초청
‘미래교육,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교육개혁의 주인은 지역 주민”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행복한미래교육포럼 주최 미래학교 특강에 초청돼 강연을 펼치고 있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행복한미래교육포럼 주최 미래학교 특강에 초청돼 강연을 펼치고 있다.

[고양신문] 아이들에 대한 교육 문제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다. 23일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제1기 미래학교 릴레이 특강 두 번째 강사로 초청돼 ‘미래교육,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김 의장은 대통령 직속기구인 국가교육회의에서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고양신문이 후원하고 (사)행복한미래교육포럼이 주관하는 이 행사는 한양문고 주엽점에서 대면과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김 의장은 “근대 산업국가의 핵심은 자본의 축적이고, 공교육은 국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출현했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지금까지 “뛰지 않으면 뒤처진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다. 자본의 축적을 목표로 하는 근대 산업국가는 환경파괴와 기후변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을 초래했다. 그 결과 세계적으로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겪으면서 고정관념이 붕괴되고 “작아지고 느려지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는 의식이 싹트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도 국가 중앙기구는 끊임없는 성장만을 추구할 것”이라면서 “우리 사회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자치기구가 국가 시스템의 성격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사회에서는 교육이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는 도구이자 계층상승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었지만, 이제는 명문대를 졸업해도 실업자로 전락하고 불투명한 미래로 인해 교육에 대한 요구가 바뀌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학교 교육 시스템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그의 해법은 이렇다.

“전면적으로 재구성될 수 밖에 없다. 사회는 이미 다양화되어 있는데 여전히 명문대를 정점에 두고 학생들을 그길로 몰아넣고 있다. 예를 들어, 요리를 좋아하는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가 요리에 특성화된 대학에서 자신이 도달하고 싶은 곳에 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부응하는 5년~7년짜리 완성형 직업교육 기관도 필요하다.”

이어 김 의장은 산업사회에서 중시했던 지식중심 교육은 자기 형성 교육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열을 가르는 단순한 지식교육이 아니라 다양성의 개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식은 중앙에서, 자기형성은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앞으로 지역사회나 자치단위는 중앙 국가교육 기관과 대등한 입장에서 미래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발언하고 정책의 축으로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사람들이 공정성 문제에 예민한 이유는 추락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라면서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공정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학생들이 수능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과는 별개로 따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모가 사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중산층 이상 아이들에게만 적합한 것이 현실이다. 

“시험을 바꿔야 한다. 수능은 교과과정에서 벗어나면 안 된다. 변별력을 측정하려면 문항을 오지선다형의 객관식으로 고정시키지 말고, 주관식이나 작은 소논문으로 대체하든지, 또 다른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김 의장은 뉴질랜드의 원시 종족 중 자신들이 있는 곳을 ‘세계의 중심, 우주의 중심’이라고 말하는 부족의 이야기를 소개하며,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세계의 중심이며 나를 중심으로 세계 질서를 창조해 나가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의 교육은 ‘미국이 세계의 중심이고, 우리가 사는 곳은 변방이다. 열심히 공부해서 서울로 나가고 해외로 나가라. 그래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가르쳤다”면서 안타까움을 표했다.

“창의성은 내가 서 있는 곳이 중심이 될 때 발현될 수 있지요. 교육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켜야 합니다. 지금처럼 교육 정책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밑에서 위로 올라와야 해요. 그래서 국가교육위원회에서 ‘국민참여단’을 모집 중입니다. 이것이 현 시스템을 바꿔 나가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주민이 국가교육개혁의 주인이라는 것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