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 건립된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연면적 399㎡인 이곳 내부에는 쨈, 분말 등의 가공식품 생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 2015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 건립된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연면적 399㎡인 이곳 내부에는 쨈, 분말 등의 가공식품 생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특정 농가·단체만 수년째 지원
15년간 공간 무상대여하기도
수익창출 지원 노력도 부족 
“폐쇄적 운영시스템이 문제”

[고양신문] 지역 농민들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고양시가 수십억원의 예산을 들여 설립한 ‘농산물가공센터’의 이용이 특정 농가들에게만 집중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고양시의회 손동숙 의원(환경경제위원장)은 17일 행정감사에서 “설립 6년째를 맞고 있는 농산물가공센터의 이용현황을 보면 지금껏 16개 농가만이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용 농가를 늘리거나 교체하려는 담당부서의 노력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2015년 준공된 고양시 농산물가공센터는 시설비 20억원, 장비 구입비 8억원, 연간 운영비 7억원 등 지금까지 시 예산 35억원이 투입됐는데, 투자 대비 매출액도 적을 뿐 아니라 여러 농가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해 센터 운영에 문제점이 많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손 의원은 “고양시는 센터가 개소한 이후 초창기 맴버 16명이 바뀌지 않고 있는데, 가까운 강화도만 보더라도 3~4년 되면 참여 농가가 나가고 들어오면서 순환된다. 고양시는 왜 그러지 못하고 있나?”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상품의 가공과 포장 단계에서 여러 수수료가 붙으면서 수익구조가 발생하기 힘들어 참여하려는 농가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답했다.

손 의원은 “수수료 핑계를 댔는데, 강화도는 조례를 바꿔서 기자재 사용료를 받지 않는 등 농가들의 수익창출을 위한 노력을 했다. 또 지역 농가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품목이 겹쳐서 못 들어갔다고 한다. 센터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담당 부서가 손을 놓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라고 비판했다.

대안으로 손 의원은 “지금의 폐쇄적 운영시스템을 바꾸기 위해선 나주나 평택의 사례처럼 ‘공유주방’의 개념을 도입해 농민들이 자신들의 상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인큐베이팅 역할을 해줄 필요가 있다”며 “이렇게 되면 공간활용의 효율성도 높아지고 제조원 사이의 경쟁으로 상품의 질이 향상돼 로컬푸드를 소비하는 고양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 고양시의회 손동숙 시의원.
▲ 고양시의회 손동숙 시의원.

한편 손 의원은 민간단체인 ‘압화연구회’와 ‘꽃차연구회’, ‘도자기연구회’ 등이 농업기술센터 내 공간을 15년 이상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손 의원은 “압화연구회를 살펴보니 30여 명의 회원 중 실제로는 10명 정도만 공간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활성화된 단체도 아니다. 무엇보다 법적으로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농업인이어야 하지만, 살펴보니 이들 중 농업인은 20% 이하였다. 이처럼 법적 근거도 없을뿐더러 앞서 언급한 '농산물가공센터'처럼 처음 관계를 맺었던 단체들만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변화하려는 노력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15년간 같은 단체에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대여한 것은 담당부서의 직무유기라 생각한다. 지금까지 압화연구회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비와 전시회 비용, 회원들을 강사로 활동하게 해 지급한 강사료 등을 합치면 10억원이 넘는 고양시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안다. 그럼에도 창업실적은 저조하고 사업의 본래 취지는 변질됐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지역 농업인들을 위한 사업인 만큼 더 엄격한 잣대로 사업 전반을 다시 살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