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여개 등산로로 연 5백만명이 찾는다

바람이 분 자리에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린 자리에 비가 내린다.
우리의 소리가 들리기 전부터 우리에게 보여주기 위해
깎긴 자리가 다시 깎기는 아픔을 매끄럽게 혹은 거칠게 다듬어 온
천년의 틈을 비집고 다가오는 저 우윳빛 암석
그 빛에 부딪힌 내 눈빛이 계곡을 파며 흐른다.
절벽을 깎아내리며 부서져 내린다.

해가 떠오르는 곳에 고양시의 담벼락처럼 둘러쳐진 북한산은 약 1억5천만 년 전의 중생대 쥐라기 때에 일어난 지각운동에 의해 생성된 화강암지대이다. 오랜 세월에 걸친 융기와 침식작용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웅대한 장벽은 그 위용과 함께 나라를 지키는 철벽이었다. 그 때문에 한강유역을 차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충지여서 “북한산을 얻는 자가 이 땅을 얻는다”라는 설이 생겼다.

삼각산, 화산, 부아악이라고도 일컬어지는 북한산은 우리나라의 진산으로 최고봉(836m)인 백운봉를 중심으로 하여 25개의 큰 봉우리가 있다. 그 북쪽에는 인수봉, 동남쪽에는 만경봉 이 세 봉우리를 중심으로, 남쪽으로 산성주능선을 따라 노적봉 등이 있고, 다시 서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의상능선을 따라 문수봉 등이 자리잡고 있다. 북쪽으로 백운대를 향해 꺾어진 원효봉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높고 아름다운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를 포함한 15개의 봉우리가 고양에 있다.

남성적인 힘을 자랑하는 웅장한 암봉과 암봉 사이로 내리 빚은 절경들은 울창한 숲과 맑은 물, 굽이치는 물살이 어우러진 여성적인 미를 자랑하고 있다. 산과 물, 남성과 여성 그 아름다운 조화를 빚어내고 있는 그 속에는 1,300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래 과거 2,000년의 역사가 담겨진 북한산성을 비롯한 수많은 역사, 문화유적과 100여개의 사찰, 암자가 곳곳에 산재되어 있다. 그 중 80% 이상이 고양 땅에 속해 있다.

우리나라의 여러 산성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북한산성을 비롯하여 진흥왕순수비(현재 복제품 건립), 태고사 원증국사탑과 비, 승가사 마애여래석가좌상, 삼천사 마애여래석가입상이 북한산 안에 있다. 이 외에도 임금의 임시 궁궐인 행궁터, 중흥사터, 금위영이건기비, 효자 박태성의 묘소, 백운대 정상의 3?1운동 암각문, 상운사의 불상과 봉성암의 부도 등 많은 문화재가 산성 안이나 북한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북한산은 도시 지역으로 둘러싸여 생태적으로는 고립된 ‘섬’이 되었다. 과거의 북한산은 주변 산들과 연결되어 호랑이가 살만큼 우수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이들 산과 완전히 단절되고 북한산 자체도 외곽의 구릉 및 평지는 모두 도시화되었으며, 공원내부도 100여개 이상의 등산로와 샛길로 파편화되어 있고, 연간 500만에 달하는 탐방객이 출입하고 있어 야생동물 서식환경이 매우 불안정하고 서식 종수 및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자연자원을 단계적으로 파악하여 계곡 휴식년제, 훼손지 자연휴식년제 실시 등과 같이 과학적인 생태계 관리를 하고 있어 가재와 버들치가 다시 나타나는 등 점차 회복 상태에 있다.

이처럼 다양한 볼거리와 생태, 문화, 역사 학습장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고양에서 가장 높은 산 북한산이다.


북한산 등반코스
 

▶코스 : 북한산성정거장->의상능선->대남문 <총소요 시간  3:04>

북한산성정거장-00:10-산성매표소-00:10-갈림길-00:51-의상봉-00:09-가사당암문-00:22-용출봉-00:29-부왕동암문-00:45-청수동암문-00:18-대남문
▷교통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북한산성정거장

▶코스 : 백화사->가사당암문 <총소요시간  1:11>
백화사 정거장-00:00-시골집 표시판-00:02-포장소로-00:08-백화사 입구-00:00-백화사 입구 안내판-00:01-한옥-00:01-매표소 진입로-00:04-매표소위 안내판-00:25-오르막 안내판-00:17-오르막 조망(지축기지)-00:00-오르막 조망-00:13-가사당암문
▷교통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1번출구-156번-백화사 입구

▶코스 : 효자비->원효봉->시구문 <총소요시간 : 1:45>
효자비-00:02-산행들머리-00:14-갈림길(→)-00:08-효자비계곡-00:11-기암-00:01-전망바위직전-00:06-전망바위-00:11-능선 조망(염초봉)-00:16-북문-00:14-원효봉 조망(염초봉)-00:07-원효암-00:15-시구문
▷교통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156번 버스(경민대환승)-효자비 하차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