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최종선정되면 7억 예산 지원

고양시가 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U-City 테스트베드(현상시험) 구축’ 과제에 1차 대상 자치단체로 선정됐다. 해당 사업은 정통부가 U-City 구축 기반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업체가 컨소시엄 형태로 과제를 제안해 최종 선정되면 7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전국 16개 시군이 사업을 신청해 3월 23일 부산-KT, 광주-한국공간정보통신, 구미-케이티하이텔솔루션, 서울삼성SDS, 파주-주공, 울산-아시아나IDT, 연기-행복청-SKT, 경제청-SK건설 등 총 9개 자치단체가 선정됐다. 최종 선정은 3월 28일 설명회를 거쳐 30일 발표된다.
고양시는 위치정보 관련 전문 기술을 보유한 일진네트웍스와 ‘가로등·보안등 관리 시스템을 연계한 노약자 관리 및 응급처리 시스템 Test-bed 구축’을 과제로 제안했다. 공동 사업 추진기간은 4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7개월이며 총 사업비는 14억원이다. 정부 예산 7억 이외에 7억원은 고양시와 컨소시업 업체가 부담하게 된다.
고양시가 제안한 과제는 지상파LBS망을 구축해 노약자 안전 관리, 응급상황 처리, 가로등/보안등 관리를 통합운영하는 시스템이다. 통합망이 구축되면 독거나 치매노인들의 위치 및 상태를 확인해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경우 어린이나 유아의 위치 및 비상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가로등과 보안등도 통합 관리가 가능해져 과전류 차단 및 관리를 일괄로 진행할 수 있다.
고양시청 정보통신과 남기준 계장은 “1차 선정 컨소시엄들이 대부분 서울이나 부산 등 광역 지자체로 기초자치단체는 고양, 파주시와 연기군 정도”라며 “우리가 제안한 과제는 복지, 보건과 시설관리를 함께 묶어 관리할 수 있게 돼 매우 효율성이 큰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고양시에 이번 사업을 제안한 시의회 윤용석(열린당·사회산업위) 의원은 “저소득 가정이나 치매노인들에게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지자체 차원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정통부의 최종 선정에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