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눈으로 고른 책 스무해동안 500권

가난한 나무꾼의 아이들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행복의 파랑새’를 찾아 여행을 떠나는 과정을 그렸던 명작 <파랑새>. 이 동화가 첫 출간된 지 100년이 훌쩍 지난 지금, 그것도 바로 우리 곁에서 ‘행복한 표정을 전해 주는’ 것을 모토로 수많은 치르치르와 미치르를 위해 정성껏 책을 만들고 있는 파랑새를 찾아 그들이 말하는 행복한 책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취재·김선주 기자/사진·황영철 기자

파랑새의 출발은 어린이책 출판사들이 붐을 이루기 훨씬 전이 1988년이다. 지금까지 약 500여권의 책을 출판하며 어느 새 스무 살, 청년출판사가 된 파랑새는 아이들에게 행복의 ‘꿈씨’를 물어다 주는 책을 만드는 것을 출판 철학으로 삼고 있다.

▲ 자연생태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난 동화로 풀어낸 <민들레 자연과학동화>는 과도한 교육적 지식을 주입하기 보다는 아이들의 눈높이와 맞췄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은 <뿡뿡 방귀쟁이 노린재>
서애경 주간은 “파랑새의 가장 큰 강점이자 특징은 부모 손을 붙잡고 고르는 책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읽고 싶은 책”이라고 전한다.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을 방해하는 책을 취급하지 않는 것은 기본이지만 그렇다고 너무 교육적으로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도 않는다는 것. 때문에 파랑새에서는 읽기 쉬운 글을 쓰는 작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그림을 그리는 화가의 활동이 돋보인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자연생태동화 <민들레 자연과학동화>시리즈다. <민들레 자연과학동화>는 아이들에게 지나치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려하지 않고, 아이들이 소화할 수 있고 흥미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내용을 동화로 풀어가며 아이들의 사랑을 받는 스테디셀러다.

파랑새의 또 다른 특징 하나. 그것은 문학·교양·만화 등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각 분야의 무게중심이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서로 비슷하다는 것이다. 어린이책의 기본 줄기인 그림책과 문학은 물론 예술·학습·만화 등이 모두 풍성한 읽을거리를 가지고 있다. 사람으로 치자면 균형이 잡힌 성장이라고나 할까.

▲ 푸른색 털을 가진 용감한 개와 소녀의 우정을 그린 프랑스 그림책 <푸른 개>는 프랑스 어린이 책 최고의 영예인 토뎀상을 받은 작품이다.


프랑스 어린이책 최고의 영예인 토뎀상을 받은 작품 <푸른 개>와 그림책의 거장 레오 리오니의 최고 걸작 <파랑이와 노랑이>등이 포함된 물구나무 이야기 그림책 시리즈와 수수께끼를 풀듯 재미난 생물 분류법 <그럼 오리너구리 자리는 어디지?>, 과학적 상상력이 빚어낸 씨앗 이야기 <어, 씨가 없어졌네요!> 등의 물구나무 지식 그림책 시리즈는 우수한 외국책을 번역한 경우가 많은 반면, 그 외 분야는 국내 창작이 압도적으로 많다.

특히 혼혈 입양아, 점박이 소녀, 자폐증 노인 등 아픈 곳을 감싸 안으며 살아가는 이웃들에 대한 일곱 편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 <쌀뱅이를 아시나요>, 같은 반 친구들 사이의 왕따 이야기 <양파의 왕따 일기> 등에서 알 수 있듯 국내 창작 동화 시리즈인 사과문고는 깊고 넓은 문학의 재미는 물론 아이들의 정서와 현실을 반영한 여러 소재를 다루며 삶에 대한 시야와 생각의 깊이에도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정호승, 곽재구, 오정희, 이청준, 김용택 등과 같이 성인작품 대작가의 동화나 동시 작품을 많이 볼 수 있다는 것도 사과문고의 특징 중 하나다.

그 외 철학 동화집, 기획 동화, 북한 동화, 삼국지 구비동화 등의 문학작품과 역사 인물 동화, 킹피셔 백과사전, 김미진 선생님이 들려주는 미술 동화 등의 인문·예술작품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책 크기의 틀을 깬 ‘빅북 클래식’은 현재 <해저2만리>와 <안데르센 동화집>이 출간됐는데 온 가족이 모여 커다란 책을 펼치고 이야기와 그림이 보며 즐길 수 있는 매력이 있으며, 아이들이 성장하며 꼭 읽어야할 그리스 신화를 25년간 심혈을 기울여 새롭게 해석한 그리스에서 만든 어린이를 위한 <그리스 신화>의 번역도 놓치면 아까운 작품이다.

▲ 파랑새의 만화엔 십 수년간 사랑받는 캐릭터들이 많다. <짱뚱아 까치밥은 남겨둬>의 짱뚱이 역시 우리 아이들에게 소박하고 친근한 친구로 사랑받고 있다.
서 주간은 “시대를 뛰어넘어 아이들의 친구가 되는 토박이 캐릭터가 많다는 것도 강점”이라고 말한다. 특히 만화 짱뚱이, 뚱딴지, 검정고무신 기영이, 돌배는 우리 민족이 아니라면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우리 고유 정서에 꼭 맞는 캐릭터로 십 수년간 부모세대와 아이들의 공감을 얻으며 사랑을 받고 있는 캐릭터. 이들은 지금처럼 앞으로도 오랫동안 재미있는 이야기에서, 때로는 배 깔고 누워 읽는 오락용 만화로, 또한 학습만화에서 종횡무진 활동 할 것이다.

“앞으로는 과학이나 역사 등의 교양서에 좀 더 주력할 계획”이라는 서 주간의 설명을 들으며 파랑새가 우리 아이들에게 향후 어떤 ‘꿈씨’를 물어다 줄지, 그 씨가 어떻게 싹을 틔울지 궁금했다. 분명한 건 그렇게 움튼 싹이 무성한 잎이 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우리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 줄 것이라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파랑새 책에는 한결같이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찾던 바로 그 ‘행복의 파랑새’가 곳곳에 숨어있는 까닭이다.

편집인이 추천하는 책
<수학선수>
<토미를 위하여>
<크레용 왕국> 시리즈
<쌀뱅이를 아시나요>
<로마 미스터리> 시리즈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