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영어캠프 운영에 논란

시가 의욕적으로 전개하는 영어캠프 시범사업에 대한 교육현장의 반응은 의외로 냉담하다. 차라리 각 학교 원어민교사를 적어도 한 명씩은 확보해나가는 게 더 시급하다는 분위기.
현재 고양시는 6억원의 교육예산을 들여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영어캠프 신청학생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전체 외국어지원 예산의 1/4 수준이다. 그러나 이 혜택을 받는 학생은 750여 명에 불과하다. 이들은 150만원짜리 2주 캠프에 1인당 50만원~110만원의 시 지원을 받는다. 영어캠프 지원에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 선정된 이유에 대해서 시 관계자는 “파주 영어마을은 고양시를 위한 별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어렵고 항공대 영어캠프의 경우에는 합숙시설이 없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선에서는 학교사업도 아닌 이 영어캠프가 사교육을 조장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그 예산이면 10개교에 수천 명의 어린이가 1년 내내 정기적으로 원어민 영어수업을 받을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러한 지적은 원어민 교사의 수업이 진행되는 학교나 원어민 교사의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 일부 학교에서 최근 진행되는 놀토 원어민 영어체험교실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어민이 없는 학교의 불만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시는 6억의 예산으로 10개교에 원어민 교사 전액 지원, 기존 협력사업으로 23개교에 3억 7천여 만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고양시 전체 학교 수에 비한다면 턱없이 부족한 상태. 원어민교사 지원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한 초등학교 교장은 “예년에 다른 사업에 지원을 받아 누락된 것으로 좋게 해석하려 하지만 원어민교사 지원 선정기준을 모르겠다”며 “원어민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 시달리는 다른 학교 교장 중에는 화를 내거나 될 때까지 해보겠다고 벼르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도 “원어민 교사의 지원이 없는 학교의 학부모들은 왜 일부 학교만 혜택을 보냐고 원성이 높다”며 “캠프는 일시적인 사업인데다 일부 학생에게만 혜택이 가는데 왜 시가 이 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여하는지 모르겠다. 시가 지원한다는 생색내기가 아니냐”고 말했다 한 영어교사는 “영어교육은 노출회수와 꾸준한 학습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한시적인 캠프에 큰 예산을 들이는 것은 예산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며 “차라리 원어민교사의 지원이나 영어담당 교사를 위한 연수를 확대하는 게 고양시 영어교육 전체에 이롭고 장기적인 영어교육 정책”이라고 꼬집었다.
최창의 교육위원도 “파주영어마을에서 전시적 사업의 문제점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지 않냐”며 “시의 영어교육 지원은 옳으나 각 학교의 원어민교사 확보, 영어담당 교사 교육, 영어체험실 마련 등 학교 영어교육을 강화하는 효율적인 예산운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