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명 유입…녹지훼손·인구과밀 반대
정부의 수도권 10만 가구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행신 도내동에 건설될 예정인 행신2지구 개발에 대해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행신2지구는 20만3천평에 6천100세대, 1만8천여명을 입주시킬 수 있는 규모이며 임대와 분양아파트를 각각 50%씩 나눠 개발하게 된다.
사업을 맡은 주택공사에서는 이달 15일부터 행신1동사무소에 담당자를 파견해 주민 의견을 듣고 있다. 그러나 의견청취는 토지주와 부동산 관계자들이 해당 지번을 확인하는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에서는 이러한 택지개발이 개발제한 구역해제로 인한 녹지 훼손과 함께 수도권 인구 과밀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행신2지구의 경우 20만평 내에 인가는 20여호에 불과하고 대부분 임야와 논밭. 이번의 취락지역을 중심으로 한 개발제한 구역 해제 대상에서도 제외됐던 지역으로 택지개발을 위해 제한이 풀리는 셈이다. 결국 낮은 보상가를 위해 해당 지역을 선정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 이미 고양시는 인구 80만을 넘어 100만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일산2지구, 고양동의 택지개발 만으로도 우려할만한 수준의 인구 유입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다시 6천세대, 2만여명이 고양시로 들어오게 된다.
행신동 김형수씨는 “도내 행신동 일대의 유일한 산이 택지개발에 포함돼있다”며 “택지 개발에 필요한 공원 녹지를 위해서는 별도로 녹지 공간을 확보해야지 기존 산림을 공원 용지로 대체하겠다는 건 시민들의 주거 환경을 무시하고 사업비 절감을 위한 편법”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소유주들은 개발제한 구역을 풀지 않고 보상이 진행될 경우 낮은 가격에 보상가가 책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고양시의회 이기택(행신1동)의원은 “20만평 내 가구수는 20여호에 불과하고 대부분 논밭과 임야로 낮은 보상가를 위해 해당 지역을 선정한 게 아니냐”며 “해당 지역은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인근에 비해 10분 1 가격인 평당 30~50만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개발제한을 풀지 않고 보상가를 책정한다면 토지주들의 반발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주택공사 정일화 대리는 “현재 보상에 대해서는 어떤 원칙도 세워지지 않았다”며 “포함된 임야중 임상이 양호한 곳은 근린공원으로 보존하고 환경영향평가 결과 7등급이하를 받은 곳은 저층이나 단독주택 지역으로 개발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 개발은 건설교통부가 개발제한 구역이 해제되는 전국 18곳을 국민임대 주택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계획됐다. 고양 의정부 하남 등 수도권 11개 지역과 부산 대구 광주 등 지방광역시 7곳이 여기에 포함됐다.
주공은 이달 28일까지 주민의견청취를 마치고 결과를 건교부에 보고해 3월중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하게 된다. 토지 보상 협의는 올해 말부터 진행된다. 행신2지구는 내년 초 착공해 2007년 12월 준공된다. 임대주택은 2004년 상반기, 분양아파트는 같은 해 하반기에 각각 분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