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푸른21.고양시 사무국 별도 운영…12월 본예산 논란 예상
환경부가 ‘온실가스 줄이기 국민실천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작년 10월부터 각 지방자치단체에 추진하도록 하고 있는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고양시에서 두 개의 조직으로 별도로 발족돼 갈등을 빚고 있다. 고양시와 높푸른 고양 지속가능 발전협의회(의제21)가 각각 별도로 구성한 그린스타트 조직은 사무국도 따로 두고, 내년 본예산까지 별도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나 12월 시의회 예산심의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의제21은 지난 11일 일산동구청 다목적 교육장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는 시민실천사업을 담당할 ‘높푸른 고양 그린 스타트 실천단’을 구성하고 발족회의를 가졌다. 이날 발족회의에서는 윤정중(웨슬리 사회봉사단 연합회장)씨를 단장으로, 최태봉(전 고양시민회 공동대표)씨를 부단장, 김미수씨를 총무로 각각 선임하고 실천단의 현안 과제와 2010년 사업방향을 논의했다.
그러나 고양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지난 5월 21일 고양시청 문예회관에서 24개 단체 회원 1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발대식을 가졌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김성호 집행위원장이 실천선언문을 낭독하고 시민대표, 기업체 대표 등과 함께 온실가스 줄이기 시민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기도 했다.
4일에는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대표자 회의가 열려 이은만 전 고양문화원 원장을 단장으로, 권해원(고양환경단체협의회 자문위원장), 권혁호(한민족진흥회 사무총장)을 감사로 선임했다. 고양시 환경청소과는 높푸른 고양21의 그린스타트 실천단이 발족되던 11일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구성현황과 협조요청 공문을 관계기관들에 발송했다. 공문에는 운영위원장으로 김성호 청소년역사문화교육원 원장이 추가됐다.


의제21 유재덕 상임대표는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그동안 고양시가 주도해 추진해왔다. 우리 의제에서는 지난 2월 총회에서 그린스타트 실천단 관련 내용을 정관에 포함시키기도 하는 등 협력을 위한 노력을 해왔으나 절차상의 과정이 무시되는 등 도저히 함께 가기 어렵다는 판단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고양시 환경보호과 담당자는 “시에서는 지난 5월 발족된 그린스타트만을 인정한다. 내년 본예산에는 사업비를 제외한 운영비 7000만원이 상정돼있다”며 “환경부에 현재 고양시 의제21의 협조가 어려워 두 개의 조직 운영이 가능한지 질의해서, 지역상황이 불가피하다면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ㆍ관 파트너십 기구로 저탄소 녹색성장운동에 앞장선다는 긍정적인 취지에도 불구하고, 단체가 동일한 목적을 두고 연이어 발족한 것에 대해 외부의 시각은 곱지 않다. 전국에서 이처럼 두개의 조직이 운영되는 경우는 고양시가 유일하다.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앞서 9월 추경예산안에 인건비와 사무실 운영비 명목으로 2663만원을 상정했다가 상임위와 예결위에서 논란 끝에 삭감됐다. 심사과정에서 박윤희 의원 등은 “환경부 지침을 보면 그린스타트는 의제 사무국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도록 되어있는데 별도의 사무국을 꾸리는 것은 규정위반”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내년 본예산에는 의제21과 그린스타트의 각각 운영예산과 동일한 목적의 예산이 상정될 예정이다. 결국 관련 논란은 오는 12월 시의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