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6일, 경기도 교육청은 경기도 31개 시군의 교육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사업설명회를 하였다. 시군 전체 혹은 일부구역을 혁신교육지구로 지정, 공교육의 대안적인 모델을 지역사회 함께 만들어 가겠다는 것이다. 이는 혁신학교의 성공에 자신감을 갖게 된 김상곤 교육감이 이를 바탕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간 형태의 정책을 보여준다. 또한 현재 혁신학교가 연속성이 없는 것에 대한 대안을보여준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혁신교육지구는 지역사회와 함께 협력해서 공교육 혁신의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는 것이다. 경기도교육청 혁신지구 담당자도 혁신지구의 성공에서는 ‘지역구성원들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 밝힌바 있다. 혁신교육지구의 성공 여부에 우리 공교육의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고 생각할 만큼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 생각한다.
경기도 교육청이 시군담당자에게 배포한 설명자료를 보면 혁신지구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이 합의해서 부담하게 되어있다. 혁신지구 학교의 보조교사 인건비, 방과후프로그램 운영비, 유치원에 대한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비, 학교 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예산등이 혁신지구 운영에 필요한 예산이다. 물론 도 교육청의 자료를 보면 현실성이 부족한 면도 있다. 학교 복합시설을 지어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쓰는 공간으로 하겠다는 계획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지구의 성공이 공교육의 정상화, 혹은 강화에 미칠 영향은 상당히 클 것이라 보아진다. 경기도 전체 20여개에 불과한 혁신학교가 전국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현실을 볼 때 지역을 엮어서 혁신교육지구로 만들고 이를 성공적으로 운영할 때 개별 혁신학교의 성공보다 더 큰 파급력을 가져올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혁신교육지구를 고양시에 유치는 해야 한다. 고양시 전체를 혁신교육지구로 만들어야 하지만 이는 예산의 측면, 기타 기반조건의 문제를 볼 때 쉽지 않다. 덕양구에 혁신교육지구를 만들어야 한다. 덕양구는 상대적인 박탈감에 오랫동안 시달려왔다. 고양시장이 아니라 일산시장이라는 냉소적인 이야기도 많이 있었다. 최근에는 창릉천 수변사업 공모를 신청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덕양구 소외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개인적으로 얼마전 창릉천 수변도시 사업과 관련한 논쟁에서 최성 시장이 보여준 원칙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그러나 최성 시장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지역내에서 ‘덕양구 소외론’으로 논쟁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할 수밖에 없다.
덕양지역에는 일산과 비교해 열악한 학교들이 훨씬 많다. 이번에 고양시와 고양시교육지원청에서 공동으로 전학년 무상급식을 실시하게 된 학생수 300인 미만의 소규모 학교의 70%가 덕양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 학생의 70% 가까이가 급식비 지원대상이다.
덕양구 전체를 개발을 통해서 발전시키기는 쉽지 않다. 그린벨트며, 군사보호지역이며, 고양시에서 해결할 수 없는 과제들이 너무나 많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 덕양구에 대한 투자를 해야한다.
‘교육이 강한 덕양구’ ‘혁신교육1번지 덕양구’ ‘공교육의 모범, 덕양구’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혁신교육지구를 덕양구에 유치하는 것, 그것은 교육도시 고양을 만드는 첫걸음 이라고 할 수 있겠다.
김혜연 고양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