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소유주와 75% 재계약 합의…25%는 반대
지역사회, 경기도 고양시의 적극 중재노력 촉구

구분소유주와 관리를 맡고 있던 세이브존 측과의 재계약이 무산되면서 시작됐던 세이브존 화정점의 사실상 폐업상황이 1년을 넘어가면서도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세이브존 측은 정상화를 요구하는 구분소유주 75%와 재계약을 합의하고 4일 임시총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세이브존 측에 따르면 정상화를 위해서는 재계약율이 85%가 넘어야하는데 25%의 구분소유주들이 합의를 하지 않고 있어 해결책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세이브존 화정점은 구분소유주들이 자영과 임대, 수수료매장 등으로 복잡하게 나뉘고, 세이브존과 임대료 갈등을 빚으며 2008년 9월부터 재계약을 하지 못했다. 결국 세이브존 측은 2009년부터 본사가 상동으로 이전하고 단계적으로 철수하면서 1년여 동안 세이브존은 사실상 ‘흉가’처럼 방치되어오고 있다. 현재는 1층과 2층, 지하1층의 일부 매장만이 영업을 하고 있다.
세이브존 화정점은 지하 2층~지상5층까지를 537구좌로 작게 나누어 모두 270여명의 소유주가 지분을 갖고 있다. 세이브존이 313개 구좌, 46%의 지분만을 갖고 있고, 나머지 54%의 지분을 273명의 소유주들이 나누고 있는 복잡한 소유구조가 오늘의 상황을 만들어냈다고도 볼 수 있다.
화정의 가장 중심가에 위치한 세이브존 상황이 장기화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복잡한 이해구조 탓에 쉽게 중재와 해결책을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화정점의 구분소유주들과 대화를 계속해오고 있는 세이브존 준법검사부 김현동 부장은 “재오픈을 위해서는 임대차계약이 85%가 돼야하는데 25%의 소유주들이 합의를 하지 않고 있다”며 “다들 오픈에는 다들 찬성하지만 예전처럼 일부는 자신들 방식의 운영으로 이득을 보겠다고 나오는 상황에서 재오픈이 쉽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이재준 의원도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경기도 경제투자위원회 전문위원실과 고양시 지역경제과장에게 적극적인 중재를 수차례 주문했으나 제대로된 답을 얻지 못했다며 “세이브존과 구분소유주 양측이 서로의 앙금을 털고 대타협을 이루어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양측이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장기간 휴폐업으로 맞서 치킨게임을 고집하며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지역 경제 침체를 가속화한다면 주민의 종전과 같은 주민사랑을 결코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덕양구 유일의 종합쇼핑몰이었던 세이브존이 문을 닫고 오랜 기간 방치됨으로 지역 주민들의 불편은 이루말할 수 없는 심각한 위기 상황이다. 경기도와 고양시는 지금 바로 즉시 해결을 위해 현장으로 뛰어야 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