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철씨 국가권력에 의한 범죄를 기록하다

그랬다. 1995년 9월 유족들이 모금을 통해 직접 현장을 발굴하기 전까지 금정굴은 지역에서 금기시됐다. 누군가는 이야기했다. “그곳에서 뼛조각 하나라도 나오면 내 손에 장을 지지겠다”고. 그곳에서 153명이상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유품들이 발견됐다. 발굴된 유골들은 당시 온 산을 뒤덮었고, 안전상의 이유로 더 이상의 발굴을 진행할 수 없었던 유족들은 가슴을 치며 통곡했다.
신기철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전 조사관이 정리한 금정굴 사건으로 본 민간인 학살 ‘진실 국가범죄를 말하다’는 고양이 안고 있는 가슴아픈 역사에 대해 아무런 감정을 실지 않고 담담하게 적고 있다. 진실위에서 금정굴 사건을 직접 담당한 조사팀장으로서 희생자, 유족들의 피해, 가해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너무나 촘촘히 자료로 만들었다. 사건의 전후 상황, 국가의 참회와 화해 등 남은 과제까지 금정굴에 대한 ‘모든 것’이 책안에 담겨있다.
“대부분 서울지검에서 공개한 사건 당시의 조사 기록을 근거로 했다. 자료를 통해 경찰과 검찰, 국가가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실제 사건의 배후임을 알 수 있었다.”
신기철씨는 저서를 통해 가해자가 바로 국가, 당시의 이승만 대통령이라고 지목하고 있다. 신씨는 “전쟁을 계기로 정치적 반대세력을 모두 제거됐다. 이것이 이승만 정부가 전쟁을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민간인 집단학살 역시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이라고 의심할만한 충분한 이유”라고 설명한다. 실제 신씨의 조사결과 금정굴 사건은 알려진 것처럼 ‘민간 우익단체들에 의한 좌익들에 대한 보복사건’이 아니다. ‘진실~’은 “고양지역에서 저질러진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의 직접적인 가해 주체는 고양경찰서 소속 경찰관과 이들의 지휘를 받았던 의용경찰대 등이었다”고 확인해주고 있다.

김진이 기자
kjini@mygoya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