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주장>

2월 24일자 중앙일보에 이런 제목의 사설이 실렸다. ‘세금 지킨 ‘작은 영웅’ 고양시 A씨.’ 2008년 7월 고양시가 민간투자 사업으로 경전철 사업을 추진했으나 위 A씨가 주도하여 이를 막아냈고, 그러므로 시민들의 힘으로 세금을 지켜냈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정작 이 사설을 본 고양경전철 반대 주민대책위원회 사람들이 난리가 났다. 고양시의 경전철 반대운동은 수만명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순수한 주민운동으로 운동사에 기록될만한 사례였다.  A씨가 주민운동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정도의 역할을 한 분들은 그 외에도 많다. 고양시의 경전철 반대운동은 수많은 풀뿌리들이 모여 자신들의 마당을 지킨, 말 그대로 ‘순수한 풀뿌리 주민운동’이었던 것이다. 

이 사설은 기실 그 전날 ‘재앙될뻔한 경전철…고양시민은 막았다’라는 기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 기사는 14만 명 예측에 3만 명 실수요로 나타나 출혈운영이 불가피한 용인경전철의 경우를 보고, 시민들의 힘으로 세금낭비를 막아낸 모범사례로 고양시의 경전철 반대운동을 다루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좋은 의도로 쓰여진 기사임에 틀림없고, 2008년에 전개된 반대운동에 대해선 비교적 소상하게 다루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가 정작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이 다음부터다. 고양경전철 반대 주민대책위원회 해당되는 분들이 이 사설을 보고 모두가 불쾌해했고, 어떤 식으로든 중앙일보에 정정요청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사를 쓴 기자에게 전화를 해서, A씨가 주민대책위의 구성원일 뿐이고 이건에 대해서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며 기사가 사실과 좀 다르다고 정정요청을 했다. 그러니 그 기자 왈, 인터뷰한 ‘그 A씨가 자신이 주도했다고 이야기해서 그렇게 쓴거니 항의하려면 그 사람에게 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다시 중앙일보가 기사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부서 ‘팩트체크룸’이란 곳에 전화를 했다. 돌아온 대답은 이렇다. “그 기사를 쓴 기자에게 연결해줄 테니 정정기사를 써달라고 해라. 우리는 실권이 없다.”
사설을 쓴 논설위원실에 전화를 했다. 사설을 쓴 논설위원은 알려줄 수 없고, 이런 문제에 대한 담당자가 있으니 연결해준단다. 담당자의 답은 이러하다. “언론중재위에 조정 신청해라. 이런 문제는 언론중재위에 의뢰하는 게 제일 합리적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라 칭하면서도 이를 다루는 중앙일보의 태도는 너무나 가볍고 상투적이다. 또한 기사 오류를 지적하는 항의에 대처하는 태도 역시 너무나 너무나 지루하고 상투적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중앙일보는 과연 미래의 신문인가?


고양 경량전철 반대 주민대책위원회
<외부기고는 본지 논조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