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주장> 고양시에 ‘말라리아 방역센터’를 제안하며
중국 얼룩날개 모기 암컷이 전파시키는 말라리아는 물리면 2주~수개월의 잠복기를 거쳐 오한, 발열, 발한의 전형적인 감염 증상을 나타내는 제3군 법정전염병이다. 1970년대에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다시 사회문제화 된 것은 지구온난화현상으로 겨울철 평균기온이 상승하면서다. 또 북한에 살던 모기가 남쪽으로 내려 오면서 1993년 이후 다시 유행하기 시작해 매년 2000여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양시는 시전역이 환자발생 증가우려가 높은 말라리아잠재위험지역으로 매년 말라리아 감염환자가 늘어나 2010년에는 백여명이 넘어서기도 했다. 지리적으로 북한과 인접하고, 농촌지역이 75%이상을 차지해 모기유충인 장구벌레의 서식지가 넓게 분포한 일산서구는 향후 말라리아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되고 있다.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현재로써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예방이 최우선이며, 모기의 서식지를 없애는 것이 실효적인 예방대책 수단이다. 서구보건소는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일산동을 비롯한 5개동 인구밀집지역의 정화조 121곳에 대하 유충조사 및 방제를 실시하고 ‘4214모기제로 방역반’을 전담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북한의 말라리아 환자증가속도가 무섭게 늘어나 2008년 2만명을 넘어섰다는 것이다. 우리만 적극적으로 방제한다고 해서 말라리아를 근절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경기북부지역에 국한되어 말라리아 환자의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빈곤과 정치적 고립으로 말라리아에 무방비로 노출된 북한에서 대량의 환자가 발생하고, 이것이 임진강변을 따라 한강상류지역까지 이동한다면 서울지역까지 대량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염병관리 부서인 질병관리본부가 충북오송으로 이전함으로써 체계적인 말라리아 모니터링과 북한지역 방역약품등의 지원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일선현장에서 말라리아의 방제와 그 효과를 직접 체험한 당사자로서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고 나아가 남북관계의 실질적인 상생모델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해 본다.
말라리아에 대한 효율적인 연구와 방제를 위해 일산서구에 ’말라리아 방역센터’를 설치,운영하는 것이다.
고양시는 토지를 확보하고, 정부는 남북교류협력자금을 지원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운영하는 형태로 ‘말라리아 방역센터’가 설치된다면 국민의 건강과 함께 긴장된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임철희/일산서구 보건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