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빠진 합동유세장 선관위 불성실 질타 한목소리
일부 연설회장은 무더위로 선거 운동원들마저 그늘이 있는 근처 벤치로 자리를 옮겨 후보자가 텅빈 운동장을 두고 옆 벤치를 향해 연설하는 웃지 못할 상황까지 연출했다.
해마다 연설회장에서의 세 과시와 연설 후 썰물처럼 빠져나가기 등의 문제가 되풀이되자 올해는 아예 연설회를 기피하는 후보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기초선거구 중 덕양구의 능곡동과 행신2동, 화전·대덕동, 일산구의 마두1동, 주엽1동, 일산3, 4동은 후보자들간의 합의로 아예 연설회 자체가 무산됐다. 또한 대화동은 3명의 후보자중 2명이 불참하고 광역선거구에서도 8선거구에서 2명의 후보가 불참해 단 한 명의 후보만이 연설을 하기도 했다.
후보자들 사이에서는 “연설회장에 오는 사람들이 모두 선거운동원들이고 날씨도 더워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데 굳이 아까운 시간을 뺏겨가며 연설회에 참가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는 것이 지배적인 정서.
일산의 최 모 후보는 “선거에 처음 참여했는데 후보자들의 연설이 끝나면 우르르 빠져 나가는 것도 보기 좋지 않아 상대 후보와 합의를 하고 연설을 안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선관위의 불성실한 홍보태도에 문제를 제기하는 후보도 있다. 광역의원으로 출마한 김 모 후보는 연설회장에서 “선관위가 공보방송도 불성실하게 해 주민들이 연설회가 언제 어디에서 열리는지도 모르고 있다”며 선관위 직원들에게 가장 더운 낮 시간에 시간을 배정한 이유에 대해서도 강력히 항의했다.
구태의연한 선거방식에 후보자들이 반기를 들고 나선 셈이다. 이 모 후보는 “연설회장에 주민들을 되도록 많이 참석시키는 것은 선관위가 담당해야 할 몫”이라며 후보자들은 사람들을 연설회에 참석시킬 여력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 후보는 “선관위가 연설회를 그저 형식적으로 치루려 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
사람이 열 명도 채 안 모인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서는 2시가 되자 예정대로 시작하자는 선관위 직원들과 사람들이 조금 더 모이면 시작하자는 후보들과의 언쟁이 있기도 했다.
선거 막바지 시민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해야 할 선관위가 오히려 선거에 대한 무관심을 부축이고 있다는 것이 한결같은 목소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