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주, 조미야 / 이주목장 / 벽제농협 / 1992년 7월 낙농을 하며 자연순환 농법으로 경영비를 절감하고 있고, 자가 조사료 생산을 통한 수입 조사료 감축과 생산성 향상으로 유질을 개선하고 있다. ▲ 김대진, 정현숙 / 필승농장 / 지도농협 / 1993년 12월 시설채소를 하며, 작목반을 조직해 신농업기술 등을 작목반원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 최경복, 이순금 / 두산농장 / 원당농협 / 1994년 12월 수도작, 시설채소를 하며, 선진기술 습득으로 우수 농산물 생산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 김훈, 오제희 / 영훈농장 / 신도농협 / 1995년 12월 화훼 농사를 하며, 과학화된 영농기술로 규격화된 고품질 화훼를 생산 하고 있다. ▲ 김창래, 임옥순 / 창대농장 / 벽제농협 / 2000년 3월 시설채소를 하며, 채소류의 영농기술개발을 통해 농가 소득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 ▲ 우진호, 박창수 / 동마루 / 신도농협 / 2001년 2월 친환경 쌈채소류를 하며, 친환경 농산물 생산토대를 마련했고, 수경재배 채소류의 일본수출선도와 농업관련 대학에서 후계농업인 양성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 박호근, 이복순 / 금강농원 / 한국화훼농협 / 2001년 3월 화훼 농사를 하며, 호접란 개화유도시설(냉방시설)을 이용한 연중 출하시스템 정립으로 홍수 출하를 예방하고 있다. ▲ 조성업, 김영임 / 청룡농장 / 일산농협 / 2007년 3월 수도작을 하며, 저농약 농산물 생산과 자가 브랜드로 소비자와 직거래를 활성화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 허증, 노충미 / 엑셀란 목장 / 고양축협 / 2008년 12월낙농을 하며, 1989년 제1회부터 한국 홀스타인 품평회 개최준비위원회로 활동하고 있다. 품평회를 통해 품종 개량의 중요성과 성과에 대해 많은 낙농가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 최준배, 유성형 / 녹색마을 / 일산농업협동조합 / 새싹채소 / 2012년 10월 새싹채소를 키우며, 농산물 품질관리원의 친환경무농약인증, G마크 인증, 고양시우수농산물 인증을 획득하고, 고품질의 새싹채소를 생산하고 있다. 박영선 기자 ysun6504@nate.com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사라진 720억, 누가 책임지나" 목암조합, 시행사·고양시 상대 손배소 “택시 부족한데 감차? 동의 못한다” "이동환 시장, 올해도 규정 안 지키고 즉흥적 해외출장” 원생에 종교 강요, 식자재는 교회로... 시립어린이집 원장 논란 변경·변경·변경… 고양시 경자구역 ‘갈팡질팡’ 언제까지 “고양시 공공건설 68% 외지업체가 잠식” "인천2호선·고양은평선, 타당성에만 매몰되면 안돼" "사라진 720억, 누가 책임지나" 목암조합, 시행사·고양시 상대 손배소 라이브리 댓글 작성을 위해 JavaScript를 활성화 해주세요 주요기사 고양로타리클럽 40년, 도약의 100년 담은 감동선율 사과나무의료재단, 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A+ 획득 사과나무치과, 일산사랑센터와 MOU “3대 성인병과 치매, 일상의 음식으로 치유해요” 주민들이 준비한 내유1동 ‘마을안녕 산고사’ 지내던 날 일산노인종합복지관, ‘효(孝)저금통’ 모금 진행
▲ 이완주, 조미야 / 이주목장 / 벽제농협 / 1992년 7월 낙농을 하며 자연순환 농법으로 경영비를 절감하고 있고, 자가 조사료 생산을 통한 수입 조사료 감축과 생산성 향상으로 유질을 개선하고 있다. ▲ 김대진, 정현숙 / 필승농장 / 지도농협 / 1993년 12월 시설채소를 하며, 작목반을 조직해 신농업기술 등을 작목반원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 최경복, 이순금 / 두산농장 / 원당농협 / 1994년 12월 수도작, 시설채소를 하며, 선진기술 습득으로 우수 농산물 생산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 김훈, 오제희 / 영훈농장 / 신도농협 / 1995년 12월 화훼 농사를 하며, 과학화된 영농기술로 규격화된 고품질 화훼를 생산 하고 있다. ▲ 김창래, 임옥순 / 창대농장 / 벽제농협 / 2000년 3월 시설채소를 하며, 채소류의 영농기술개발을 통해 농가 소득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 ▲ 우진호, 박창수 / 동마루 / 신도농협 / 2001년 2월 친환경 쌈채소류를 하며, 친환경 농산물 생산토대를 마련했고, 수경재배 채소류의 일본수출선도와 농업관련 대학에서 후계농업인 양성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 박호근, 이복순 / 금강농원 / 한국화훼농협 / 2001년 3월 화훼 농사를 하며, 호접란 개화유도시설(냉방시설)을 이용한 연중 출하시스템 정립으로 홍수 출하를 예방하고 있다. ▲ 조성업, 김영임 / 청룡농장 / 일산농협 / 2007년 3월 수도작을 하며, 저농약 농산물 생산과 자가 브랜드로 소비자와 직거래를 활성화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 허증, 노충미 / 엑셀란 목장 / 고양축협 / 2008년 12월낙농을 하며, 1989년 제1회부터 한국 홀스타인 품평회 개최준비위원회로 활동하고 있다. 품평회를 통해 품종 개량의 중요성과 성과에 대해 많은 낙농가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 최준배, 유성형 / 녹색마을 / 일산농업협동조합 / 새싹채소 / 2012년 10월 새싹채소를 키우며, 농산물 품질관리원의 친환경무농약인증, G마크 인증, 고양시우수농산물 인증을 획득하고, 고품질의 새싹채소를 생산하고 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사라진 720억, 누가 책임지나" 목암조합, 시행사·고양시 상대 손배소 “택시 부족한데 감차? 동의 못한다” "이동환 시장, 올해도 규정 안 지키고 즉흥적 해외출장” 원생에 종교 강요, 식자재는 교회로... 시립어린이집 원장 논란 변경·변경·변경… 고양시 경자구역 ‘갈팡질팡’ 언제까지 “고양시 공공건설 68% 외지업체가 잠식” "인천2호선·고양은평선, 타당성에만 매몰되면 안돼"
주요기사 고양로타리클럽 40년, 도약의 100년 담은 감동선율 사과나무의료재단, 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A+ 획득 사과나무치과, 일산사랑센터와 MOU “3대 성인병과 치매, 일상의 음식으로 치유해요” 주민들이 준비한 내유1동 ‘마을안녕 산고사’ 지내던 날 일산노인종합복지관, ‘효(孝)저금통’ 모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