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제관 육각정 환수의 의미와 전략 학술 세미나

조선총독 하세가와 강탈은
일본 지역신문 기사 근거
지속적 환수노력 보여줘야
일본과 협상 물꼬 트여 

벽제관 육각정은 고양의 국가지정 문화재인 벽제관지(사적 제144호)의 부속 정자였다. 고양동 벽제관지 내에 있던 육각정은 조선2대 총독인 하세가와 요시미치(1850~1924)에 의해 1918년 일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로 옮겨졌다.

하세가와는 임진왜란 당시 벽제관 전투에 참가한 일본군 장수 깃카와 히로이에(1561~1625)의 전승기념물과 같은 의미로 육각정을 일본으로 반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깃카와 히로이에와 하세가와의 고향이 바로 지금 육각정이 있는 일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다.

이렇게 일본에 ‘강탈’된 육각정 환수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환수 방안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지난 9일 덕양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세미나는 김재홍 관동대 겸임교수의 사회로 이순우 우리문화재연구소장이 기조강연을 했고, 김진옥 국외소재문화재단조사연구원·조명호 이천오층석탑환수위원회 상임위원장·이동범 (주)컬쳐앤로드 문화유산활용연구소장 등 3명이 주제발표를 했다.

일제강점기 벽제면사무소 추정
기조강연을 맡은 이순우 소장은 육각정의 원래 위치를 추정하는 문제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이 소장은 “벽제관의 육각정자의 원위치를 단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명확한 자료는 아직 발견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 소장은 이어 “다만 벽제관 바로 전면에 연지가 있었고 일제강점기 후반기에 이르러 이 자리가 매립된 이후 벽제면사무소가 새로 건립된 사실이 드러나고 있으므로 자연스레 이 지점을 육각정의 유력한 원위치로 검토해볼 여깆가 있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또한 육각정의 반출 경위에 대해 “하세가와 총독이 육각정을 반출한 주체라는 사실은 일본 현지의 지역신문인 ‘흥보시보’ 1920년 4월 16일자 및 1920년 2월 5일자 기사에 ‘하세가와 원수 기증의 조선건물(육각정)’ 이라는 언급이 있는 것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 9일 덕양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육각정 환수 세미나는 시종일관 진지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이날 세미나는 육각정 환수의 당위성을 인식하고 환수를 위한 중지를 모으는 자리였다.


환수된 우리문화재 9758점
김진옥 연구원은 외국에 있는 한국문화재 현황과 환수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해외에 소재한 한국문화재는 2013년 4월 현재 15만2915점으로 조사됐다”며 “통계상 20개국중 한국문화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전체 비율중 43%에 해당하는 일본이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또한 “실제로 한국으로 돌아온 우리문화재는 9758점이고 이중 71.8%인 7002점이 1991년 이후 환수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천서도 오층석탑 환수운동 벌여   
조명호 상임위원장은 현재 이천문화원장으로 있으며 이천오층석탑 환수 운동의 중심에 서 있다. 조 위원장에 따르면, 2008년 8월 ‘이천오층석탑 되찾기 범시민운동 추진위’가 발족되고 2010년 이천시민의 55%가 환수 운동에 서명했고, 이 서명부를 일본에 전달했다.

이후 이천오층석탑 되찾기 범시민운동 추진위는 일본 동경에서 환수를 위한 심포지엄을 일본관계자와 갖기도 하고 환수를 위해 오오쿠라 재단과 협상을 벌이기도 했다. 일본 군납 거상인 오오쿠라는 이천오층석탑을 동경으로 가져간 주체로 알려졌다. 조 위원장은 “매년 평균 3~4회의 적극적인 방일 협상을 추진할 것이며 이오쿠라 재단에 이천오층석탑을 되돌려 줄 수 있는 명분을 탐색하겠다”고 말했다.

환수의 압박수단 설정해야
이동범 소장은 육각정 환수전략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 소장은 “한일협정 당시, 육각정이 있던 벽제관지 같은 국유문화재는 원칙적으로 돌려주겠다고 한 일본정부의 확약이 있었고, 문화재청도 고양시가 일본과의 교류를 통해 반환을 받도록 권고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또한 “육각정을 보유하고 있는 이와쿠니시가 확실하게 부담을 가질 수 있도록 압박수단을 설정해야 한다”며 “하세가와 총독의 부도덕성과 한국의 국가문화재를 강탈했다는 점을 부각시켜 이와쿠니시에 있는 여론을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범 소장은 육각정환수위원회 구성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이 소장은 “전범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하세가와 총독에 의한 강제적 기증이며 국가소유의 대상물을 가져갔으므로 한일간 문화재 협상의 관례에 따라 반환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육각정환수위원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측에 환수 명분 제공해야     
이날 세미나의 종합토론에 나선 안재성 고양시 문화관광해설사회장은 “지난 2월에 남의 땅 이와쿠니시에 가있는 육각정을 바라보다가 분노를 느끼게 됐다. 육각정 환수운동의 열기를 고조시켜 그 힘을 일본 이와쿠니시에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 조명호 위원장은 “문화재 환수를 위해 일본측과의 대화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근거서류를 가지고 대화에 임해야 한다. 그래야만 일본 사람들이 감응할 수가 있고 협상의 물꼬가 트인다. 문화재를 환수할 수 있는 명분을 꾸준히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