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 출범
주민발의 형태로 조례추진
“아이들 방사능 안전 중요”
2012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 안전에 대한 전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아이들의 먹거리를 방사능으로부터 보호하자는 취지의 조례안을 지역 시민단체들이 추진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9일 일산동구청에서 고양시 공공급식시설 방사능물질 차단에 관한 조례제정을 위한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 발대식이 개최됐다. 5개 생협과 고양YWCA, 고양환경운동연합, 고양시 작은도서관협의회, 천주교 의정부 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등 20여개 지역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는 앞으로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한 공공급식을 위해 주민발의로 조례제정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네트워크 출범을 주도해온 송미령 고양YWCA 사무총장은 “그동안 YWCA차원에서 생활방사능 실태조사, 수산물 방사능 검사 등을 진행해 오다가 올해 9월부터 고양방사능안전급식조례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시민사회에 제안했으며 이후 2차례 회의와 조례초안구성을 위한 TF모임을 거쳐 정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방사능안전조례는 전국적으로 군포시, 서울시, 울산시, 부천시 등에서 제정·시행되고 있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때문에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에서는 타 지역 사례를 면밀히 분석해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형 조례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발의형태는 서명운동 등을 통한 주민 참여형으로 진행된다. 현행법상 고양시에 살고 있는 20세 이상 주민 2%가 발의할 경우 조례안이 시의회에 상정될 수 있다. 때문에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는 앞으로 3개월간 시민교육, 캠페인, 서명운동 등을 통해 방사능안전조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참여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송미령 사무총장은 “물리적 안전문제 뿐만 아니라 먹거리 안전도 중요하다. 특히 아이들에게 방사능물질은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식재료에 대해 유효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조례가 꼭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