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포 북팜시티 2차 준비모임

▲ 파주출판단지에서 진행된 북팜시티 2차 준비모임에서 이영아 고양신문 대표(맨 왼쪽)는 “지역주민, 전문가가 7:3정도로 참여하는 북팜시티 준비포럼을 만들자”라고 제안했다.

송포 북팜시티 2차 준비모임
주민포럼, 연구용역 제안 등
농업융복합산업 성공확률 高
국가차원의 지원도 기대 가능

“출판단지조합은 북팜시티 사업에 도움을 보태고 싶을 뿐 주도하겠다는 입장은 아니다. 주민들이 이 사업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함께 나서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기웅 파주출판단지 이사장
“JDS계획이 무산되면서 땅값도 떨어지고 집집마다 빚이 엄청난데 농지를 남겨두는 방식의 개발에 누가 찬성하겠나. 우리 입장에서는 이 계획이 실효성 없는 탁상공론 같아 보인다.”

-이경철 송포동 3통장  
농업과 문화, 산업이 공존하는 새로운 융합도시모델인 ‘북팜시티’ 추진을 위한 2차 준비모임이 14일 파주출판단지 2단계 단지 내 ‘책과 영화의 도시 건설본부’에서 진행됐다<1203호 ‘농촌·도시 융합모델 북팜시티, 주민참여가 성공의 열쇠’기사 참조>. 이기웅 파주출판단지 이사장, 이영아 고양신문 대표, 김달수 도의원 등 1차 모임참석자 대다수가 참여한 이날 모임에서는 사업추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들이 나왔다.

특히 이날 자리에서는 해당사업의 핵심주체가 될 송포주민들이 상당수 참여해 북팜시티 계획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윤주한 막걸리축제위원회 회장은 “지역 토박이 출신으로서 북팜시티 모델에 대해 동의하고 함께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다만 주변에서 시큰둥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이 많은 것도 현실”이라며 “결국 미래에 대한 확신과 가능성을 가지고 계속 설득해가며 전망을 제시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을 나타냈다.

심민보 농업경영인 송포지구회 부회장은 “송포주민들은 JDS계획으로 인해 몇 년간 재산권을 제약받았고 이제는 사업백지화로 인해 땅값마저 폭락하고 있다. 그냥 땅을 내놓으라는 것은 말이 안되고 ‘북팜시티’라는 모델이 몇 년 후에는 어떻게 운영될지에 관한 명확한 그림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최준배 친환경 ‘녹색마을’ 대표 또한 “농업인들이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소득보장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여전히 제기됐다. 이경철 송포 3통장은 “지난 몇 년간 위에서 떠드는 계획 때문에 지역주민들만 죽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또다시 주민들에게 허황된 꿈을 안겨주는 계획이 아닌가 싶어 불만이다”며 솔직한 심정을 나타냈다. 박상언 비타민나무농장 대표 또한 “현재로서는 수용방식의 개발이 아니라면 지역주민들은 찬성할 수 없다. FTA까지 체결된 마당에 쌀농사보다 차라리 아파트경비원이 돈을 더 많이 버는 게 현실”이라며 “북팜시티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들고 주민들과 대화에 임해야 한다”며 단호한 입장을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은 북팜시티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박인호 동아일보 전원칼럼니스트는 “정부
차원에서 최근 농지를 활용한 농업융복합산업 같은 6차산업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북팜시티 계획이 이러한 정부정책방향과 일치하는 만큼 농촌수익만 보장할 수 있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이어 박 칼럼니스트는 “송포지역은 좋은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사업추진만 원활하게 이뤄질 경우 큰 성공가능성이 있다. 서울에서 나오는 귀농귀촌 인구의 상당수가 이곳을 찾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용섭 시 도시정비과장 또한 “과거에는 공공기관 차원에서 택지개발사업을 진행해왔지만 점차 이런 방식을 지양하는 추세”라며 “국가주도개발이 아니더라도 도시계획법 상 환지개발방식을 통해 추진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다만 김 과장은 “주민들이 옛날 개발방식에 익숙한 만큼 현재 계획은 오해를 일으킬 여지가 많다”며 “일본에서도 팜시티 추진을 위해 무려 30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된 만큼 지속적인 주민설득과정이 있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날 모임에서는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된 가운데 전문가와 지역인사들이 조언하는 식의 포럼을 만들어 북팜시티를 준비하자는 제안과 함께 농업수익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고민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또한 구체적 사업계획수립을 위해 시 차원의 연구용역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