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 강연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 강연
아동은 성인 비해 8~20배 위험
기준치, 검사방법 강화 필요
“정부에서 말하는 방사능 기준치 이내라고 해서 결코 안전한 것이 아닙니다. 행정편의를 위한 관리기준일 뿐이에요. 게다가 우리나라는 삼중수소 등 일부 방사능 물질에 대해서는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지난달 28일 고양교육지원청 대강당에서 진행된 ‘우리아이급식, 방사능에서 안전한가’ 강연 현장. 100여 명의 시민이 자리를 가득 메운 가운데 강연자인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사진>이 말을 이어갔다.
“식약청이나 농림수산부는 일정수준의 방사능은 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이는 외부 피폭에만 해당되는 명제일 뿐입니다. 내부피폭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현대과학이 아직까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어요. 스트론튬은 18년, 플루토늄의 경우 198년 동안 몸에 축적되는데 정부는 여기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에 출범한 방사능안전고양네트워크 주최로 열린 이날 강연회는 음식물, 특히 후쿠시마 농수산물 유통에 의한 방사능 피폭의 위험성을 알리고 대안을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미래세대인 아이들의 건강권과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인 ‘영유아급식시설 및 학교급식시설 방사능물질차단조례’(이하 방사능안전조례) 주민발의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음식물 섭취에 의한 방사능 문제는 후쿠시마 수산물에 대한 하승수 위원장의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세상에 처음 알려졌다. 방사능물질인 세슘-137 대량검출이 논란이 되면서 2013년 정부는 뒤늦게 주변 8개 현에 대한 수입금지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학교급식에 약 4327kg의 일본 수산물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데다가 정부는 올해 수입금지조치마저 풀어버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상황.
하 위원장은 “방사능은 여자가 남자의 2배, 아동은 성인의 8~20배 더 위험하며 피폭량과 암 발생이 비례한다는 게 의학계의 정설”이라며 “적어도 아이들의 급식은 방사능에서 안전할 수 있도록 기준치와 검사방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장은 방사능안전조례제정을 통해 지역차원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근본적 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의 규제와 탈원전에 나서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풀뿌리 운동이 중요하다. 대만의 경우 85% 이상 지어진 원전을 국민반대여론을 통해 가동을 막은 사례가 있다”며 고양의 방사능안전조례제정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2만 명 이상의 주민발의를 통해 추진예정인 고양시 방사능안전조례는 내달 11일 방사능 문제를 다룬 ‘후쿠시마의 미래’ 공동체 영화상영과 17일 조례제정 공청회를 거쳐 28일부터 3달간 진행될 예정이다. 송미령 YWCA사무총장은 “작년 YWCA에서 자체진행한 41건의 샘플조사 결과 고양시 농산물 또한 방사능 물질인 세슘이 소량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수치들이 공개돼 급식은 물론 시민들의 먹거리에 대한 선택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