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면 11월 첫 주 철거 시작
구 삼송초 학교건물의 철거(본보 1241호 ‘7억원 들여 학교 철거… 활용 방안은 없나?’ 참고)를 앞두고 지역 주민들이 철거 반대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폐교가 된 구 삼송초를 시민에게 돌려달라’는 제목의 서명지에는 ‘삼송초의 철거를 반대하고, 그곳을 시민들의 공간으로 쓰일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처음 이 문제를 주민들에게 환기시킨 김훈래 신도동 주민자치위원장은 “학교가 철거되면 주민들은 어떻게든 개발 되는 줄 알고 있는데 그게 아니라고 알려줬더니 다들 놀라는 눈치였다”고 말했다.
현재 구 삼송초는 건물이 철거되더라도 기획재정부가 땅을 소유하고 있어 당분간 나대지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수개월 전 고양시는 학교 건물을 주민과 함께 하는 ‘예술인 마을’로 활용할 계획으로 기재부에 폐교건물을 쓸 수 있게 허락해 달라는 요청을 했지만 기재부가 동의하지 않아 불발로 끝났었다.
이 내용을 접한 신도동 주민자치위원회는 의견을 모아 학교 철거 반대 서명을 운동을 벌이기로 하고 신도동 16개 통장을 중심으로 서명자료를 돌려 주민들에게 서명을 받고 있다. 지난 9일 삼송초 총동문체육대회가 열린 날에는 동문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서명운동에 동참하도록 호소했다.
주민들은 철거 사실에 놀라며 인근 지역민을 위한 시설로 활용하자는 쪽이다. 한 주민은 “폐교 이후 그곳에 뭐라도 금방 들어올 줄 알았다. 폐교 부지가 개발되면 ‘삼송역 인근도 함께 개발되지 않을까’하는 기대심리도 있었지만 건물 철거 후에 어떤 계획도 없이 나대지로 남게 될 바에야 서둘러서 굳이 철거할 필요가 있겠냐”며 철거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김훈래 주민자치위원장은 “이것도 저것도 결정된 것 없이 철거 후 울타리를 치겠다는 것인데 우선 활용 방안을 생각하는 것이 맞지 않겠냐”며 안타까워했다. 신도동 주민자치위원회는 서명자료를 모아 교육청과 기재부, 고양시, 청와대 민원실, 지역 정치인 등에 다방면으로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학교건물 철거공사는 빠르면 11월 첫 주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고양교육지원청은 “오는 21일 전후로 사업자 선정 입찰을 시작해 일주일 뒤 업체가 선정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고양시도 활용방안을 찾고 있지만 기재부가 부지사용에 대한 동의를 해주지 않는 한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