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여개의 첨단 기업 유치, 1만8000명의 직접고용 효과

고양시에 조성되는 경기북부테크노밸리와 관련해 가장 관심이 쏠리는 것은 테크노밸리의 위치다. 경기북부테크노밸리를 핵심공약으로 내세웠던 김현미 국회의원측은 “위치가 킨텍스와 자유로 사이 논밭쪽에 걸쳐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시 도시계획과 이재학 팀장은 “일산서구라는 것 외에 정확한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다. 일산동구 쪽은 테크노밸리를 조성할 가용부지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고 말했다.

7월말 정확한 위치와 규모 결정
이재학 팀장은 “지난 4월 25일 테크노밸리 유치를 경기도에 신청할 때는 우리시가 대략적인 위치를 선정해서 신청했지만, 그 위치는 비공개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개발행위제한을 고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위치를 공개할 수 없고, 더구나 앞으로 경기도와 고양시가 협의를 통해 테크노밸리의 위치를 새롭게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팀장은 이어 “경기도가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위치를 ‘일산구’라고 하고 규모를 ‘30만~50만㎡’로 부정확하게 나타낸 이유가 테크노벨리의 위치와 규모가 고양시와 경기도 간 협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향후 고양시는 경기도와 협의 과정에서 테크노밸리에 대한 기업의 수요, 주위 기반시설과 인프라 상태, 부지 가격, 교통 상황, 지장물 밀집도 등을 따져 정확한 테크노밸리의 위치와 규모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재학 팀장은 “이르면 7월말에 테크노밸리의 위치와 규모가 결정되면 곧바로 개발행위제한 공람공고가 고시되고 실제 개발행위제한의 효력은 8월말 발효된다”고 말했다.

테크노밸리의 총 개발규모, 경기도시공사와 고양시 간 지분참여율, 역할 분담 등은 7월 중에 윤곽이 드러난다. 고양시와 경기도는 이에 따라 오는 10월 테크노밸리의 공간구상, 토지이용계획 등 개발컨셉트를 구체화 한 세부조성계획을 발표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후 2017년 9월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하고 2018년 3월 실시계획인가를 완료하며 2018년 상반기 부지조성공사 착공 등의 과정을 거쳐 2020년부터 기업 입주를 시작할 계획이다.

김현미·김영환 의원 정치권 노력 주효
다른 입지 조건은 우수하지만 고양시가 경기북부테크노밸리를 유치하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된 것은 고양시 부지의 높은 가격이었다.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북부테크노밸리 조성방안’에 보면 기업입지 수요조사결과, 고양, 구리, 남양주, 의정부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상기업의 58%가 고양시 일산지구를 선호했고, 25%가 구리·남양주 지구를 선호했으며, 이어 6%가 의정부 지구를 선호했다. 특히 인천에 있는 기업의 87%가 선호하는 입지로 고양시 일산지구를 꼽았다. 

또한 지식기반서비스 비율이 높은 시군으로도 고양, 구리, 동두천, 파주, 남양주 순으로 나타났고, 전문관리직 일자리수 기준으로도 고양, 구리, 남양주, 의정부, 파주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가장 유력한 경쟁지였던 구리, 남양주, 의정부에 비해 고양시의 비싼 부지 가격이었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JDS 대상 구역의 경우 농림지역·전답의 공시지가가 3.3㎡당 150만원을 훨씬 상회하고 있으며 계획관리지역의 경우 250만~500만원 수준이다.

4년 전부터 경기북부테크노밸리의 고양 유치를 공약으로 내건 김현미 국회의원은 “땅값이 다소 비싸지만 다른 입지 조건은 월등히 우수하니 규모를 줄여서라도 테크노밸리를 고양에 유치해야 한다고 경기도에 끊임없이 설득했다”며 “이번 테크노밸리의 고양 유치에는 최성 고양시장, 김영환 도의원, 임창열 킨텍스 대표 등도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특히 김영환 도의원은 지난 5월 초 ‘경기도 킨텍스 지구 개발사업 특별회계 설치 조례안’을 대표발의해 경기도의회에 통과시키는 등 테크노밸리의 고양 유치에 역할을 했다. 김영환 의원은 “경기남부 성남의 판교테크노밸리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면서 경기북부에도 이같은 테크노밸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5년 전부터 도의회 차원에서 경기도 실·국장을 상대로 경기북부에 테크노밸리를 유치하기 위한 물밑작업을 꾸준히 해왔다”고 밝혔다.

테크노밸리에 대한 기업 수요조사 착수
5조2705억원을 들여 2009년 준공된 판교테크노밸리는 지난해 말 기준 70조원이 넘는 매출, 7만2000여 개의 일자리를 갖추며 경기도의 2015년 GRDP의 23%를 담당하고 있다. 고양시에 지어지는 테크노밸리의 규모가 30만~50만㎡라면 판교테크노밸리 규모(66만1000㎡)의 약 50~57% 수준에 그치지만 신성장 동력을 확실히 확보한 셈이다. 고양시는 이번 경기 북부 테크노밸리 조성 확정 발표로 그동안 수도권 정비계획법에 의한 과밀억제권역 등 2중 3중의 규제에 묶여 어려움을 겪던 기업 유치를 극복하고 이를 계기로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에 날개를 달게 된 셈이다.

시는 경기 북부 테크노밸리 기업의 수요조사 위해 즉시 전담 TF를 구성, 운영하며 총력을 다해 유치 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전문인력 종사자 비율이 타 시·군에 비해 높고 서울과의 지리적 접근성으로 전문인력 유입을 유도하는 최적의 도시임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재학 시 도시계획팀장은 고양시가 차지할 지분율에 대해 “경기도와 줄다기리를 한 끝에 고양시 지분율을 확정하겠지만 지분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업이익을 최소화하더라도 우수한 기업들을 많이 유치해 테크노밸리를 활성화하는 것”이라며 “실질적으로 유치하고자 하는 기업의 수요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하게 조사해서 실제 토지 분양이 어느 정도 이뤄지는가가 테크노밸리 성패의 첫 번째 관건“이라고 말했다. 

올해 1월 확정한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에 따르면 경기북부지역에 테크노밸리가 조성될 경우 부지 조성과 공공.민간분야 건축사업을 통해 약 1조6000억원의 신규투자와 조성 완료 후 1900여 개의 기업 유치, 약 1만8000명의 직접고용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기북부테크노밸리 조성 절차

일시               향후 계획 
2016년 7월     총 개발규모, 위치, 경기도시공사와 고양시 간 지분참여율, 역할 분담 결정
2016년 7월     해당구역 개발행위제한 고시
2016년 10월    공간구상, 토지이용계획 등 개발컨셉트 구체화
2017년 9월     도시개발구역 지정
2018년 3월     실시계획인가 완료
2018년 상반기 부지조성공사 착공
2020년            기업입주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