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와 운영위 구성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환경부가 건전한 소비생활을 정착시키고 소비문화공간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각 지자체가 직접 행사를 주관할 것을 권고하면서 시작됐다. 환경부는 지역별로 1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는 벼룩시장을 공모를 통해 선정된 ‘나눔장터’라는 이름으로 공공기관이 민간단체와 함께 정기적으로 벌여 나가라고 각 지자체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고양시도 지난 8일 나눔장터 추진을 위한 회의를 갖고 이 달 30일 첫 장터를 일산 미관광장에서 열기로 결정했다.
고양시는 장터 개설을 위해 장소를 제공하고 홍보, 질서유지, 각종 행사와 물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해 생활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 고양시 나눔장터 운영협의회(가칭 푸른고양 나눔장터 운영협의회)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고양시는 오는 26일 여성, 시민, 환경단체 등으로 이루어진 운영협의회를 만들고 올해 하반기와 내년도 장터 운영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해 말부터 사회단체와 함께 마을단위로 벼룩시장 행사를 벌여왔던 지역 의원들은 고양시의 이 같은 움직임에 환영의 뜻을 보였다. 그러나 관 주도의 틀에 박힌 행사보다는 주민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들을 내놓고 있다. 대화동 성저공원에서 정기적으로 벼룩시장을 개최해온 고양시의회 심규현 의원은 “행사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참여는 예산과 시설지원 등으로 한정하고 운영은 시민 스스로에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