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 행정감사
사업 88.6% 대행 및 위수탁계약
정책연구 담당부서조차 없어
자체사업 확대, 연구조직 역할 해야
[고양신문]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사업 대다수가 자체 정책연구가 아닌 대행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에 대해 전문기관으로서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신정현(고양3, 더민주) 의원은 9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 평생교육국의 공기관 대행사업과 위·수탁 사업 남발에 대해 강력하게 질타하였다.
신정현 의원은 “평생교육과는 2020년 자체사업 관련 예산 중 56%를 공기관 대행사업으로 편성하였으며, 도 자체사업은 시군보조 및 대행사업 8건, 민간위탁 1건, 지식(GSEEK) 관련 콘텐츠 위탁 6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평생교육국은 무슨 철학을 가지고 어떤 비전으로 사업을 운영하는지 의문이 든다”고 질타했다.
신 의원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사업 중 88.6%가 공기관 대행사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연구를 담당하는 부서조차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1,370만 경기도민의 평생학습을 책임져야 하는 평생교육진흥원이 평생교육국의 대행사업 수행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신 의원은 “평생교육진흥원은 기존 평생교육국에 의존해 사업을 추진해 오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춰 자체사업을 80% 이상으로 늘리고 연구조직으로서 경기도 평생교육을 책임져야 한다”며 “이번 행정사무감사를 계기로 평생교육국과 진흥원은 위·수탁 사업과 공기관 대행사업을 줄여나갈 방안을 고민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신 의원은 “지식(GSEEK)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전체 478개의 과정 중 958개 과정(64.8%)에서 자막이 제공되지 않아 청각장애인이 온라인 강좌 시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모든 강좌에 자막 및 수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각장애인의 학습권을 보장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