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 탄소감축 주요사례 살펴보니
[고양신문]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한 향동 LH공공주택 단지. 고양시와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은 올해 6월부터 이곳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입주 단계 전부터 공공주택단지 전 세대(498세대)를 대상으로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한 것. 아파트 건물 옥상이 아닌 세대 전체를 대상으로 외부 베란다에 미니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것은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미니태양광 설치로 탄소감축·전기세절감
관리사무소에서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세대별 발전량과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올해 이곳에 입주한 김재환씨는 “모바일 앱을 설치하면 집에서 생산되는 전기량과 절약되는 에너지 비용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전기요금도 할인되고 화석에너지 사용도 줄일 수 있어서 좋다”고 전했다.
향동 공공주택단지에 조성된 미니태양광 발전설비 보급사업은 고양시가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대표사례 중 하나다. 기후대기과 관계자는 “아파트 건축물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고민하던 중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연간 100톤가량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약 2000만원의 전기세 절감 효과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양시는 올해 LH와 공공건축물에 녹색건축 및 재생에너지 발전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는 ‘탄소 저감 청정단지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탄소배출량 실태파악 및 절감목표 성과
이처럼 고양시가 올 한해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 규모는 약 6만 톤에 달한다. 여의도 면적(4.5㎢) 5배에 달하는 면적에 숲을 조성하는 정도의 효과를 거둔 셈이다. 올해 정부 그린뉴딜 정책이 발표되고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지방정부 연대가 출범하면서 고양시의 ‘저탄소 녹색도시’ 정책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17개 광역지자체와 63개 기초지자체는 지난 7월 지방정부 실천연대를 발족하고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정부에서도 그린뉴딜선언을 통해 2030년까지 탄소감축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 중 고양시는 가장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작년 파리기후협약 이행계획 수립을 통해 올해부터 온실가스 감축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각종 인허가는 물론 분기별 이행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2.8%를 감축한다는 목표다.
향동지구 미니태양광 보급사업과 같은 에너지 전환정책 외에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총 55개 세부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교통 분야의 경우 올해 37대가 도입된 전기버스를 오는 2030년까지 459대로 늘릴 예정이다. 청정연료인 압축천연가스를 사용하는 CNG버스 도입(50대), 공용전기차 도입(28대), 전기자동차 및 수소차 지원 등도 진행됐다. 해당사업들을 통해 감축된 온실가스는 2420톤에 달한다.
배출량을 가장 많이 감축시킨 폐기물 분야(1만9000톤)의 경우 삼송 바이오매스 시설 메탄가스 활용사업이 대표적이다. 매일 250톤의 음식물쓰레기가 모여드는 이곳은 그동안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태워서 처리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민간업체와 손잡고 메탄가스를 원료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일부는 악취제거시설 연료로 쓰고 나머지는 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이를 통해 약 40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했을 뿐만 아니라 4억3000만원의 경제적 효과도 거둘 수 있었다”고 답했다.
목표 이상의 성과를 거둔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는 저소득층 고효율 LED조명 교체 사업이다. 올해 120가구를 대상으로 조명기기 635개를 LED로 교체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36.2톤 감축). LED교체를 통해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전기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박순영 기후대기과 전문위원은 “올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 이행점검을 통해 각 부서별로 탄소배출량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과업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이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당초 목표했던 온실가스 감축량에 36.4%만 달성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이야기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내년부터는 신규건물에 대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사업 등 신규 사업 발굴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 전문위원은 “내년에도 지역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감축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