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규 사과나무치과병원 부원장의 건강칼럼
[고양신문] 이갈이란 특별한 목적 없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가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수면 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낮에도 이를 가는 사람도 있다. 이갈이가 있는 대부분의 분들은 자신이 이를 가는 습관이 있음을 알지 못하고, 같이 잠을 자는 사람의 지적에 의해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다.
이갈이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예전에는 윗니와 아랫니가 만나는 치아의 교합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는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부정교합 자체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실제로는 심리적 불편감, 스트레스와 관련된 경우도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기타 유전적 소인이나 중추신경계의 이상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갈이의 흔한 부작용과 증상으로는 아침 기상 시 턱이 뻐근하고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증상 혹은 오전 시간에 발생하는 두통, 심한 경우에는 수면 중 느껴지는 턱 주위의 통증 등이 있다.
이갈이는 턱관절 장애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일반적인 턱관절 장애 증상(기능 시 귀주변의 통증, 개구장애, 섭식장애 등)의 중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갈이 시 치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치아에 잔금이 가거나 치경부의 미세한 균열과 파절을 유발해 치아의 시린 증상 혹은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갈이는 명확한 원인을 알지 못하므로 원인 요소를 제거하는 근본적인 처치법은 없다. 이갈이 처치의 목적은 이갈이와 관련된 부작용과 증상들에 대한 방어적이거나 예방적인 진료를 위주로 하고 이갈이 자체를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처치는 아직은 없는 상태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는 턱 주위의 근육 긴장을 줄일 수 있는 교합안정장치를 수면 시에 장착하는 치료로 진행한다.
교합안정장치는 치과에 내원해 이갈이에 따르는 증상 검사 후 제작해 사용할 수 있고 주기적인 내원을 통해 이갈이의 양상도 파악할 수 있다. 추가적인 처치 방법으로는 보튤리늄 톡신 주사가 있는데, 안면의 저작 근육에 주사를 놔서 근육 활성을 감소시켜 이갈이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갈이는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처치 방법을 달리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치과에 내원해 적절한 진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오정규 사과나무치과병원 부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