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당 등 4개 지역 선정. 용적률 상향, 기간단축 혜택.
[고양신문] 뉴타운 해제지역인 원당 6·7구역이 경기도 ‘공공재개발사업’후보지로 선정됐다. 경기도내 공공재개발사업 후보지 선정은 이번이 처음으로 인근 도시재생 성사혁신지구 사업과 연계해 원당역세권의 대대적인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는 16일 광명시 광명7R구역과 고양시 원당6·7구역, 화성시 진안 1-2구역등 4개 지역에 공공재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공재개발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같은 공적기관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으로 지난해 5월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의 핵심 주택 정책이다. 도와 GH는 지난해 12월 자체적으로 후보지를 공모했고 지역주민 10% 이상 동의를 얻은 노후지 10곳이 참여해 심사를 거친 결과 원당 6·7구역등 4곳을 후보지로 선정했다.
공공재개발 사업은 용적률을 법적 한도의 1.2배까지 높여 조합원 분담금 부담을 낮추고 건축·교통 등 심의를 통합 처리해 사업 기간을 단축하는 사업계획통합심의 체계 등이 주요 내용이다. 사업 기간(정비구역 지정부터 준공까지)은 기존 13년에서 6~7년까지 단축할 것으로 기대되며 용적률이 늘어난 대신 20~50%는 공공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임대공급 분으로 배정된다. 이중 일부 임대물량은 경기도 대표 공공주택 정책인 ‘기본주택’공급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원당 6·7구역은 성사동 일대 15만8,917㎡를 대상지로 한다. 당초 원당뉴타운구역으로 묶였다가 2018년 지구제척으로 해제고시 된 이곳은 그동안 도시재생활성화구역으로 관리되어 왔지만 시 차원의 별다른 계획 없이 그동안 방치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경기가 뜨거운 데다가 인근 원당4구역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재개발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었다.
원당공공정비사업 추진위원회 김동원 위원장은 “일반적인 민간재개발사업의 경우 많은 부작용이 우려돼 경기도 공공정비사업에 공모를 신청했는데 마침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며 “정비업체 자금 없이 주민들과 함께 십시일반으로 노력한 끝에 선정될 수 있어서 더욱 뜻깊다”고 소감을 전했다.
예비사업시행자인 GH는 앞으로 후보지 주민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열어 주민에게 공공재개발의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를 설명하는 한편, 주민 의견을 수렴해 연내 정비계획(안) 수립 및 공공시행자 지정동의 절차 등을 밟을 계획이다. 사업추진을 위해 주민동의율을 66.7%이상 확보하는 것도 관건이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공공재개발사업을 주민들에게 알리고 사업추진을 위해 협의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고 전했다.
도 관계자는 “주민들이 직접 재개발을 추진하면 빈번한 분쟁·소송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반면 공공재개발은 투명하고 신속한 사업추진이 가능하다”며 “사업성공을 위한 공적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