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공동체활동 평가 토론회

 

175개 사업, 1287명 활동가 
마을학교 및 네트워크 성과 
공동체·주민자치회 협력 과제
회계인력 등 지원시스템 요구


[고양신문] 175개 공동체 사업과 1287명의 마을활동가 양성. 그리고 고양시민 1%에 달하는 1만 명 이상의 주민참여까지. 작년 한해 고양시 자치공동체 사업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10일 아루다 사회적협동조합 사무실에서 열린 ‘2020년 공동체 활동 분석 및 지원 체계 평가’ 토론회에서는 최근 마무리된 연구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의 작년 운영평가, 공동체 추천사례 발굴, 지원체계 효율화 방안 등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가 이어졌다. 이날 토론회는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음에도 100여 명의 마을활동가와 주민들이 참여해 열띤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연구팀(김범수·최경애·전성민)은 작년 한해 진행된 공동체 지원 사업을 비롯해 마을꿈활동가 운영사업, 마을학교 사업, 네트워크 사업, 지원체계 강화 사업 등 센터운영 전반에 관한 분석 및 평가 내용을 발표했다. 먼저 2020년 공동체 사업현황에 대한 분석을 맡은 최경애 연구원은 “코로나 상황임에도 꾸준히 소모임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가 눈에 띄었으며 일부 공동체들은 주민자치위원회와 협업 및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체계적인 활동이 돋보였다”고 평가하며 “다만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주민자치위원회와 공동체사업과의 갈등관계, 공동체의 지속가능성 문제 등은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라고 이야기했다. 

공동체 지원체계 분석을 맡은 전성민 연구원은 “작년 마을활동가 양성사업을 통해 32명의 활동가를 배출했고 이들이 공동체사업과 주민자치위원회의 가교역할을 맡으면서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컸던(89% 만족) 것으로 나타났다”며 “아울러 마을공동체 교육 324명 이수, 마을활동가 양성교육 21명 이수 등 교육사업의 성과들도 매우 컸다”고 평가했다. 

김범수 연구책임자는 “전반적으로 작년 한해 공동체사업을 통해 1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했으며 그 결과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다”며 “이제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 등 새로운 기회가 마련된 만큼 센터 차원에서 더 발전된 지원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주민자치회와 공동체 사업의 연계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컨설팅 ▲마을학교 중장기 전략수립 ▲마을강사 역량강화 및 처우개선 ▲마을공동체 교육예산 확대 등의 필요성이 언급됐다. 

토론자로 나선 송규근 시의원은 공동체사업에서 자주 나타나는 예산집행문제 해결을 위해 센터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 송 의원은 “공동체 사업을 하면서 주민들이 정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센터 차원에서 마을꿈활동가, 컨설턴트 등을 활용해 정산과정에서 좀 더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임현철 창릉동 주민자치회장은 “주민자치(위원)회가 공동체사업 협력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이는 주민자치회 자체사업만으로도 진행하기 벅차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전면전환을 맞이한 만큼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강재석 김포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장은 “전반적으로 고양시의 공동체 현황과 성과들이 많이 앞서가는 것 같아 배운 점이 많다”면서도 “보고서에 행정의 정책과 거버넌스 등에 대한 분석이 담겨있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센터장은 “주민자치회 전면전환을 앞둔 시점에서 공동체와 주민자치회와의 관계설정, 센터의 역할 정립 등 중요한 과제가 놓여있다”며 “공동체 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온 고양시가 이 부분에 대한 모범사례를 만들어 주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진행된 온라인 토론 시간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신수경 활동가는 “대부분의 시민들은 주민자치(위원)회에 대해 쉽게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동체 활동을 시작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하는 사례가 좋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이 과정에서 주민자치(위원)회가 공동체에 대해 좀 더 열린 자세를 보여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마을강사로 활동하는 우근주씨는 “주민자치가 더 활성화 되려면 공동체 활동의 시작단계인 뿌리기 단계 공동체가 훨씬 많아져야 하고 자치역량교육도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 과정에서 마을 강사들 또한 센터, 마을꿈활동가, 공동체 주민을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그밖에 회계정산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 회계 인력이 지원됐으면 좋겠다는 의견, 주민자치회 전환에 맞춰 시의회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도 제시됐다. 

김범수 연구책임자는 “소모임, 취미활동에서 시작하는 공동체 사업이 이제 마을 의제를 발굴하고 스스로 해결해나가는 자치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때”라며 “주민자치회와도 잘 결합돼 고양시만의 자치도시모델을 구축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